[블록미디어] AI와 블록체인이 만났을 때 새로운 가능성이 열린다. 지난달 타이코(Taiko) 주최로 열린 베이스드롤업 서밋(Based Rollup Summit)에서 다양한 전문가가 AI의 투명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블록체인 기술 활용 가능성을 논의했다.
AI 모델이 강력해지고 있지만 여전히 블랙박스로 남아 있다. 기조 연설자들은 AI의 학습 데이터 출처와 사용 방식이 증명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람쿠마르 오픈레저(OpenLedger) 핵심 기여자는 블록체인과 암호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 소유권과 사용 이력을 온체인에 남기겠다고 설명했다. 이는 탈중앙화 AI(DeAI)의 핵심이다.
제로지식증명(ZK) 기술은 AI와 결합해 개인정보 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알렉스 스키다노프 니어 프로토콜(NEAR Protocol) 공동 창업자는 민감한 정보를 중앙 서버에 맡기는 대신 클라이언트 단에서 처리하거나 ZK 기술로 검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ZK 기술은 복잡한 디파이 인터페이스를 단순화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다.
댄 보네 스탠퍼드 블록체인 연구소 공동 창립자는 AI 모델 학습의 신뢰 문제를 지적했다. 학습을 외부에 위탁하는 경우 ZK로 학습 전 과정을 증명하는 것은 계산 비용상 어렵지만, 블록체인의 낙관적 검증 방식을 응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는 학습 결과를 사후에 검증하는 방식이다.
ZK 기술은 블록체인 외부로도 확산되고 있다. 예컨대 AI 기반 이미지 편집 후 원본 이미지 정당성을 증명하거나 신용점수와 보험 심사에서 알고리즘 투명성을 확보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퀀텀 컴퓨터 시대를 대비해 해시 기반이나 라티스 기반 ZK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ZK 기술은 사회 전반의 신뢰 인프라로 확장돼 이제는 블록체인을 위한 기술이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가 필요로 하는 기술이 됐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8일, 09:33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