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Jack Han 에디터] 암호화폐 시장이 미·중 및 미·EU 간 무역전쟁 격화로 타격을 받을 위험에 처했다고 9일(현지시각) 코인게이프가 보도했다.
중국과 유럽연합(EU)이 미국산 상품에 대한 신규 관세를 발표하면서 시장의 하락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일부 분석가들은 비트코인을 중심으로 추가 하락이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으며, 시장 저점 도달 여부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중국은 4월 10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84%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EU 역시 4월 15일부터 미국산 품목에 10~25%의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다. 이는 미국이 104%의 대중국 관세를 적용키로 한 것에 대한 대응 조치다.
추가 하락 가능성
암호화폐 전문가인 렉트 캐피털(Rekt Capital)은 “비트코인(BTC)은 현재 3월 초 주간 저점으로 회기하며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비트코인 가격이 현재 7만1000~8만3000 달러의 거래량 격차를 메우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분석가 크레디불 크립토(CrediBULL Crypto)는 비트코인 가격이 6만9000~7만4000 달러 사이의 수요 구간에서 유동성을 흡수하며 추가 하락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코멘트와 반등 기대
시장 전문가 앤서니 폼플리아노(Anthony Pompliano)는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이번 무역전쟁에 대응해 긴급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폼플리아노는 “10년물 국채 수익률의 상승은 연준이 긴급 조치를 취하도록 압박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제롬 파월(Jerome Powell) 연준 의장이 긴급 금리 인하를 발표할 수 있으며, 이는 암호화폐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 유동성이 늘어나며 자산 시장 전반이 활기를 띌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미국 국채 시장에서 국채 매도는 시스템적인 문제가 아니고, 디레버리징 과정일 뿐이라고 말했다. 연준의 개입이 필요하지 않은 시장의 자연스러운 조정이라는 뜻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금이 매수에 적합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해당 발언 이후 뉴욕증시가 상승세로 돌아서기도 했다. 암호화폐 시장도 비슷한 시점에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