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김진배 기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가상자산 부정거래를 탐지·추적하고 다크웹 네트워크의 사이버 범죄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기술을 개발하겠다 밝혔다.

23일 KISA는 온라인 설명회를 열고 ‘가상자산 부정거래 등 사이버범죄 활동 정보 추적 기술’ 과제에 대해 설명했다. 해당 과제 2020년 4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총 45개월간 진행되며 총 79억원이 투입된다.

추적시스템 구성도 / 사진=KISA 제공

이번 연구에서는 지갑주소를 수집 및 분석해 가상자산 취급업소(VASP)를 식별하고 부정거래를 분석, 시각화 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또한 SNS 및 웹 등에서 범죄 관련 정보를 수집해 범죄 유형을 분석해 매핑함으로써 다크웹에서 벌어지는 범죄정보를 수집한다. 이밖에도 개발 기술 실증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해 개발한 기술이 실제 사용 가능한지 검증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궁극적으로 ‘가상자산 부정거래 등 사이버범죄 활동정보 추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효과적인 연구 진행을 위해 사범기관, 업계, 학계 등이 뭉쳤다. 공동 연구기관으로 주관사인 KISA를 포함해 대검찰청, 경찰대, 람다256, 충남대, 엔에스에이치씨 등 6곳이 참여한다. 박순태 보안위협대응 R&D 팀장은 “검찰과 경찰대학은 기술이 실제 사용 가능한지 검증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며 “람다256, 충남대, 엔에스에에치씨 등은 관련 기술이 있어 투입하게 됐다”고 말했다.

현재 가상자산은 지갑주소를 추적/확인해 소유기관을 식별하는 식으로 추적하고 있다. 이더스캔, 블록체인닷컴 등의 지갑주소를 이용하는 것이 여기 해당한다. 이밖에도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가상자산 거래를 분석해 위험수준을 판단하는 방식, 클러스터링을 활용해 지갑 소유기관 식별 방식, AI기반 악성거래 여부 탐지 등이 있다. 다만 KISA는 현재 관련 기술이 초기단계이고 상용화를 위한 수준이 미흡한 것으로 판단했다. 박 팀장은 “현재 나와있는 기술들은 실제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서 “국가 과제로 만들어 연구를 하면 필요 기관에서 추후 기술 이전 등을 통해 상용할 수도 있어 연구를 진행하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를 진행하게 된 배경으로는 사회적 관심과 늘어나는 관련 피해가 꼽혔다. 최근 추적이 어려운 가상자산을 악용해 경제적/사회적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n번방 사건 등으로 가상자산을 이용한 범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싸이퍼트레이스(Ciphertrace)에 따르면 19년 글로벌 가상자산 범죄 손실은 전년 대비 1.6배 증가한 45억 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다크웹에서 벌어진 가상자산 거래량은 전년 대비 1.5배 증가한 1250만만건에 달했다.

KISA는 가상자산이 범죄에 악용되는 이유로 소유자 추적의 어려움을 꼽았다. 박 팀장은 “가상화폐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해 그 특성상 범죄자금의 소유자를 추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면서 “지갑이 노출 돼도 개별적으로 추적하거나 거래소를 식별하는 것이 어려워 추적이 잘 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갑주소 수집, 거래소 식별, 부정거래 추적 등은 아직 연구 초기 단계”라며 “실환경에 적용 가능한 사이버범죄 정보 추적/탐지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해당 시스템이 구축되면 연간 400~500억 원 상당의 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보인다. 박 팀장은 “이번 연구는 개념 연구를 지나 응용수준을 연구하는 단계”라면서 “R&D를 위한 R&D가 아니라 실생활에 필요하고 국민 생활에 도움이 되는 R&D를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