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비트코인이 지난 4월 급등한 이유로 국부펀드를 포함한 기관 투자자들의 큰 자금 유입이 지목됐다. 반면, 소매 투자자들은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에서 자금을 회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인베이스(Coinbase) 기관 부문 전략 책임자인 존 다고스티노(John D’Agostino)는 CNBC 스쿼크 박스(Squawk Box)와의 인터뷰에서 국부펀드와 대규모 기관 자금, 그리고 장기 투자 목표의 자본이 비트코인 구매를 주도했다고 밝혔다. 반면, 소매 투자자는 비트코인 ETF에서 약 4억7000만 달러를 회수하며 순유출을 기록했다.
비트코인은 4월에 약 13% 상승해 7만6500달러에서 9만6000달러까지 올랐다가 9만2000달러 선에서 거래됐다. 이는 금의 10.5% 상승률을 웃도는 결과다. 기사 작성 시점 기준, 비트코인은 9만2800달러 수준이다.
코인베이스 임원은 이번 상승세가 비트코인의 희소성, 불변성, 이동성이라는 핵심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그는 비트코인이 골드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탈달러화, 기술주와의 상관관계 감소, 인플레이션 헤지로서의 가치 또한 부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른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의 강세가 시장 심리 변화와 긍정적인 뉴스 흐름 덕분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난센(Nansen)의 CEO 알렉스 스바네빅(Alex Svanevik)은 미국 재무부가 비트코인을 준비금으로 고려하는 등의 긍정적 뉴스가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고 말했다. 다만, 경기 침체 시 비트코인은 취약해질 수 있으며, 마진콜 충당을 위해 투자자들이 순매도에 나설 경우 금조차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24일, 23:50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