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김진배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2020′ 블록체인 공공 시범사업을 기존 사업과 연계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과기부와 KISA,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17일 서울 IT벤처타워에서 민간 사업자를 대상으로 20년도 블록체인 사업 통합설명회를 개최했다. KISA는 새로 선정된 공공 시범사업에 대해 기존 사업과의 연계도를 높이고 연장 및 확장이 가능한 서비스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공공 시범사업으로 선정된 사업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증거 관리 플랫폼(경찰청) ▲블록체인 기반 복지급여 중복수급 관리 플랫폼(보건복지부) ▲블록체인 기반 강원도청 만성질환통합관리 플랫폼(강원도) ▲블록체인 기반 상수도 스마트 수질 관리 시스템(부산광역시) ▲블록체인 기반 상호신뢰 통행료 정산 플랫폼(한국도로공사) ▲블록체인 기반 노지작물 생산 유통 관리 플랫폼(농촌진흥청) ▲블록체인 기반 식품안전 데이터 플랫폼(식품의약품안전처) ▲분산신원증명(DID) 기반 디지털 공공서비스 플랫폼(경상남도) ▲블록체인 기반 자율주행자동차 신뢰 플랫폼(세종특별자치시) ▲블록체인 기반 전기차 배터리 Life Cycle 시스템(제주특별자치도) 등 10개 분야로, 제주도의 사업을 제외한 나머지 사업은 신규사업으로 선정됐다. 제주도의 사업은 작년에 선정된 사업으로, 다년도 과제로 지정돼 사업을 더 확장해 진행할 예정이다.

올해 진행되는 사업은 작년과 달리 지방자치단체의 제안 과제들이 대거 포함됐다. 이는 작년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선정한 지역별 규제특구와 관련이 있다. KISA 관계자는 “지방자치단체들이 중기부의 규제 특구와 관련한 사업을 하고 있다”면서 “이와 관련해 사업 이후에도 계속될 수 있는 연장성, 확장 가능성을 가져갈 수 있게 하는 사업 위주로 선정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사업간의 연계성도 높아졌다. 한 사업에 하나의 블록체인 기술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업 말단에 다른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이번 사업에서 경상남도가 DID(분산ID)와 관련한 사업을 진행하지만, 세종시의 자율주행차 사업에도 DID 기술이 적용되며 부산시 수질관리 시스템의 말단에도 DID가 적용된다. KISA 관계자는 “기존 사업과의 연계성을 가정하고 사업 이후까지 생각해 사업 제안을 하면 좋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올해 시범 사업과 관련해서는 대규모 사업으로 넘어가기 위한 사업이라며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도로공사 사업의 경우 대구-부산 지역을 토대로 실험을 진행하지만 이 사업이 제대로 증명된다면 전국의 모든 도로에 확대될 수 있는 시작점이 될 수 있다”면서 “비즈니스모델(BM)에 대한 걱정이 많은데 비즈니스 모델이 있는 사업을 고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공공분야 시범사업은 총 70억원 규모로 진행되며 자유공모를 통해 선정되는 민간주도 국민 프로젝트의 경우 3개 과제에 총 48억원이 투입된다. 이외에도 블록체인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24개 연구개발 사업에 160억원, 블록체인 전문기업 육성에 57억원이 배정돼 총 335억원 규모의 예산이 블록체인 관련 분야에 투입될 예정이다.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 press@blockmedia.co.kr

▶블록미디어 유튜브: http://bitly.kr/9VH08l

▶블록미디어 텔레그램: http://bitly.kr/0j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