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김진배 기자] 비트코인에 관심을 갖다보면 ‘채굴’이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 비트코인을 금에 비유하더니 채굴도 금에서 가져온 것일까. 광산에서나 쓰일 법한 ‘채굴’이라는 단어가 블록체인에서는 어떻게 쓰이게 된 것일까.

비트코인에서 활용하는 채굴은 PoW(Proof of Work)에서 W(Work)를 말한다. PoW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특정 조건을 충족시키는 연산 작업 등의 행위를 증명하는 것을 말한다. 즉 컴퓨팅 파워를 제공해 블록을 연결 및 검증하는 방식이다. 대부분의 블록체인들이 이 PoW 방식을 택하고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구성원들에게 경쟁을 통해 블록 생성 권한을 부여한다. 참여자들 중 가장 빠르게 연산 작업 등을 수행한 사람이 블록을 생성하게 되고 블록 생성자의 지갑에 해당 암호화폐가 보상으로 전송되면 이것이 첫 거래로 블록체인에 기록된다.

그렇다면 여기서 드는 궁금증은 ‘왜 이 작업이 필요한가’ 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 채굴이 왜 필요하며 사람들은 채굴을 함으로써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답은 블록체인의 기본 정신에 있다. 블록체인의 기본 정신은 ‘분산’이다. 때문에 데이터를 암호화해 여러 컴퓨터에 분산 저장하고 이들의 검증에 따라 거래가 이루어지는 방식을 택한다.

데이터가 암호화되면 이를 저장할 ‘블록’이 필요하다. 채굴은 이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이 블록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중앙화된 기관이 정보를 관리하는 체계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GPU 방식의 채굴은 채굴 장비가 비쌀 뿐만 아니라 채굴에 드는 전력도 엄청나다. 따라서 이 모든 리스크를 상쇄하고도 남을 ‘보상’이 필요하며 이 보상은 사람들을 채굴에 참여하게 만드는 동인이 된다.

채굴자들은 블록 생성에 대한 보상으로 암호화폐를 지급받는다. 여기에 사람들이 암호화폐를 전송하면서 발생하는 수수료 개념의 가스(가스 링크 넣기)도 추가 보상으로 지급받는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도록 유인을 주는 것이다.

앞서 블록을 가장 먼저 생산한 사람에게 블록이 생산되며 이에 대한 보상으로 해당 암호화폐를 지급받는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정말 딱 한 명의 블록 생성자만 채굴에 대한 보상을 받는 것은 아니다. 이론적으로는 단 한명에게 주어지는 것이 이 보상이지만 채굴과 보상 효율화를 위해 참여자들은 일종의 그룹을 형성해 작업을 분담한다. 이들이 참여한 그룹에서 블록을 생성할 경우 해당 그룹에 참여한 모든 사람들이 특정 기준에 따라 보상을 나눠 갖게 된다. 따라서 평생 블록을 생성하지 못할 일도 없으며 보상을 받지 못할 일도 없다.

물론 이런 PoW 방식 채굴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왔다. ▲막대한 전기요금이 발생하고 ▲채굴 장비의 성능 차이로 인해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커지며 ▲거대 채굴업체들의 등장으로 채굴 중앙화 문제가 생겨났으며 ▲51% 공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일부 암호화폐들이 PoS(Proof of Stake) 방식으로의 전환을 선택하기도 했다. 이더리움 2.0의 궁극적 목표가 PoS로의 전환인 것이 대표적이다. PoS 방식은 블록 생성을 위해 Work가 아닌 Stake 방식을 택한다. 즉, 일을 하고 보상을 얻는 것이 아니라 가지고 있음으로 인해 블록 생성의 대상자가 된다. 당연히 많은 암호화폐를 보유한 사람에게 많은 보상이 간다. 은행에 많은 돈을 예치할수록 많은 이자를 받는 것과 비슷한 개념이다.

이 외에도 DPOS라는 방식도 있다. 네트워크 참여자들 중에서 대표자를 뽑아 대표자가 노드를 운영하는 식이다. 네트워크 참여자들은 투표를 통해 소수의 대표자를 선출하고 이 대표들의 합의를 통해 블록이 생성된다. 때문에 합의 과정이 짧아 속도가 빠른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소수의 인원들만으로 노드가 구성된다는 점에서 블록체인의 특징인 탈중앙화를 실현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 press@blockmedia.co.kr
▶블록미디어 텔레그램: http://bitly.kr/0jeN
▶블록미디어 인스타그램: http://bitly.kr/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