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CME(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형성되었던 대규모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선물 차익거래 포지션이 대부분 정리됐다.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이더리움 선물 시장의 연환산 기준 베이시스는 2.7%포인트를 넘어 섰다. 이는 선물 가격이 현물 대비 크게 높아 차익거래 기회를 열어줬고, ETF를 통한 현물 매수와 CME 선물 매도를 병행하는 구조가 나타났다.
이 같은 구조는 △경기 침체 우려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긴축 정책 △무역 갈등 등 매크로 악재로 이어지며 조정장을 초래했다. 포지션 청산과 현물 매도가 증가하면서 이더리움 가격은 큰 폭으로 하락했다. 하지만 현재 이러한 차익거래 포지션은 대부분 해소됐고, 이더리움 선물의 연환산 베이시스는 최근 0.2~0.5% 수준으로 하락했다. 선물과 현물 가격 간 괴리가 거의 사라져 시장의 하방 압력도 줄었다.
비트코인도 비슷한 상황이다. 2025년 4월 기준 CME 비트코인 선물의 연환산 베이시스는 0.5~1% 수준을 유지하며 차익거래를 유도할 만큼의 괴리는 아니다. 전문가들은 “현재 비트코인은 약한 정베이시스 구간에 있으며, 전반적인 방향성이 불분명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베이시스 축소는 시장 부담이 줄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현물 수요가 강하지 않아 명확한 반등 신호로 보기는 어렵다. 크립토 분석가 크립토미(CryptoMe)는 “시장 반등을 위해서는 현물 매수세가 다시 유입되고, 선물 시장에서 롱 포지션이 확대되는 구조가 필요하다”며 “이를 뒷받침할 금리 인하 기대나 경기 회복 신호 등 매크로 호재가 동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21일, 11:55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