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기준금리가 다시 낮아질 경우 스테이블코인 산업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USDT와 USDC 등 주요 스테이블코인의 수익모델은 미국 국채 투자 수익에 기반하고 있다. 하지만 금리가 0%대에 근접하면 이 같은 수익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
쓰리 시그마(Three Sigma)의 분석에 따르면, 일부 프로젝트는 전통 금융 자산 외에 암호화 자산 시장에서의 수익 구조를 병행하며 대안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델타 헷징(Delta Hedging) 모델은 금리 변화와 무관하게 작동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전통 스테이블코인의 수익 모델은 대부분 금리에 의존하고 있다. 현재 시장 점유율 상위 스테이블코인인 USDT(테더)와 USDC(서클)은 준비금의 대부분을 미국 단기 국채에 투자하고 있다. 서클은 2024년 기준 연 매출의 99% 이상을 미국채 이자 수익에서 거뒀고, 테더 역시 준비금의 80% 이상을 미국채에 배분해 수익을 얻고 있다. 하지만 금리가 낮아지면 이러한 수익 기반이 약화될 수 있다.
쓰리 시그마는 금리 하락 시 전통 모델과 다른 구조를 가진 에테나(ENA)의 USDe를 소개했다. USDe는 미국채 대신 파생상품 시장에서 숏 포지션을 통해 델타 중립 구조를 만들고, 이를 통해 펀딩 수익과 스테이킹 보상을 주요 수익원으로 삼고 있다. 이 전략은 금리에 민감하지 않으며, 저금리 환경에서 오히려 유리할 수 있다. 에테나는 2024년 약 3억2000만 달러의 수익을 기록하며 디파이(Decentralized Finance) 영역에서 빠르게 확장했다.
쓰리 시그마는 스테이블코인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수익 모델 다변화’가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채 수익에만 의존하는 구조는 금리 하락 국면에서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금리 환경 △시장 유동성 △스테이블코인의 거래 활용성 △투명한 담보 구조 등에 따라 경쟁력이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수익 구조가 공존하는 체계는 향후 시장 안정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21일, 10:48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