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스토리(Story, $IP) 재단의 대표 안드레아 무토니(Andrea Muttoni)는 블록체인 기반 지식재산권(IP) 인프라의 가능성에 확신하고 있다. 비들아시아 2025 참석차 방한한 무토니 대표는 블록미디어와의 인터뷰에서 “지금까지의 IP는 법률 문서와 종이 폴더에 갇혀 있었지만, 우리는 이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유동적인 자산으로 바꾸고 있다”고 말했다.
무토니 대표는 아마존에서 알렉사와 킨들북, 그리고 디어랩스의 디지털 자산 프로젝트를 거쳐 현재는 스토리 재단을 이끌고 있다. 스토리는 온체인 IP를 중심으로 창작자, 팬, 기업이 협업하고 수익을 분배하는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 중이다. 그는 “한국의 IP 생태계는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수준”이라며 “K-팝, K-드라마, K-컬처 전반이 확산되고 있어 IP 확장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스토리는 실제로 한국 시장에 특별한 공을 들이고 있으며, 올해 KBW(Korea Blockchain Week)를 큰 규모로 준비 중이다.
스토리는 최근 아리아 프로토콜(ARIA Protocol)과 협력해 글로벌 아티스트들의 음악에 대한 부분 권리를 블록체인 상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했다. 무토니 대표는 “이제는 팬도 IP 수익에 참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블록체인을 통해 음악이나 이미지, 디자인 같은 창작물이 자동으로 등록되고, 사용 시 라이선스가 실행되며, 수익은 즉시 분배된다”고 덧붙였다. AI 생성 콘텐츠의 저작권 문제에 대해서도 그는 “AI 모델의 학습 데이터를 추적하고, 제공자에게 수익을 배분하는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스토리는 또한 IP 포털을 출시해 일반 창작자도 쉽게 자신의 창작물을 등록하고 라이선스를 설정할 수 있게 했다. 무토니 대표는 “사람들이 IP라고 하면 거창하게 생각하지만, 이제는 인스타그램에 사진을 올리는 것처럼 IP를 등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시대”라고 설명했다. IP 포털을 통해 등록된 콘텐츠는 누군가 사용해 파생 콘텐츠를 만들거나 상업적으로 활용할 경우 자동으로 수익이 분배된다.
무토니 대표는 서울에서 열린 비틀 AI 해커톤에도 참여했다. 그는 “온체인 IP는 아직 낯선 개념이라 개발자와 창작자의 경험이 중요하며, 이번 해커톤은 다양한 가능성을 실험해볼 기회”라고 말했다. 또한 스토리는 5월부터 6월까지 한 달간 온라인 빌더톤을 개최해 IP를 비롯한 다양한 실물자산(RWA)을 블록체인에 올리는 프로젝트를 육성할 예정이다. 무토니 대표는 “VC 연계를 통해 실질적 창업과 투자로 이어지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스토리는 현재 3000만 달러 이상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한국을 거점으로 글로벌 온체인 IP 혁신을 준비 중이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21일, 10:37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