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6월 소비자물가 동향’ 발표
생활물가 2.3%↑…27개월 만에 최저
작년 고물가에 따른 기저 효과 반영

[세종=뉴시스] 박영주 임하은 기자 =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2.7% 오르며 2021년 9월(2.4%) 이후 21개월 만에 2%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1.12(2020=100)로 1년 전보다 2.7% 올랐다. 다만 물가지수로 보면 전월과 같은 수준을 보였다.

associate_pic3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서울 시내 한 주유소를 찾은 시민들이 주유를 하고 있다.  2023.06.12 kmn@newsis.com

소비자물가 상승폭이 크게 둔화한 배경에는 지난해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0%로 높았던데 따른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석유류 가격이 역대 최대 하락폭을 보이고 서비스 물가 상승률이 둔화한 것도 반영됐다.

계절적 요인 등을 고려해 주로 전년 동월과 비교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6월(6.0%)과 7월(6.3%) 6%대로 정점을 찍은 후 8월(5.7%)부터 올해 1월(5.2%)까지 5%대를 이어갔다. 이후 2월(4.8%), 3월(4.2%) 4%대에 이어 4월(3.7%), 5월(3.3%)에는 3%대까지 둔화했다가 지난달에는 상승률이 2%대로 축소됐다.

품목별로 보면 상품과 서비스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각각 2.0%, 3.3% 상승했다. 상품 중 농축수산물 물가는 전년보다 2.0% 올랐다.

채소류가 3.6% 오르면서 농산물 가격은 2.3% 상승했다. 등락 품목을 보면 포도(-11.8%), 마늘(-9.6%), 배(-21.0%), 쌀(-2.5%) 등은 하락했지만 사과(11.1%), 참외(19.3%), 고춧가루(8.1%), 양파(20.5%) 등은 가격이 올랐다.

축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4.9% 하락했지만, 전월보다는 1.2% 올랐다. 돼지고기(-7.2%), 국산 쇠고기(-5.1%), 수입 쇠고기(-8.0%) 등은 가격이 내려갔지만, 닭고기는 13.7% 상승했다. 수산물은 고등어(10.1%), 오징어(14.2%) 등이 오르면서 6.0% 상승했다.

공업제품은 전년보다 0.2% 오르는 데 그쳤다. 정부가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한 빵(11.5%), 라면(13.4%), 우유(9.0%), 스낵과자(10.5%) 등 가공식품은 7.5% 오르며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지난 1일부터 라면 출고가격이 내려감에 따라 이르면 다음 달부터 라면 물가는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석유류 가격은 25.4% 하락하면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 내림폭을 기록했다. 경유 물가는 32.5%나 하락했으며 휘발유(-23.8%), 자동차용 LPG(-15.3%), 등유(-13.7%) 등도 가격이 크게 내려갔다. 석유류 가격이 전체 물가를 1.47%포인트(p) 끌어 내린 셈이다.

전기료(28.8%), 도시가스(29.0%), 지역 난방비(36.6%) 등이 모두 오르면서 전기·가스·수도 요금은 25.9% 상승했다. 공공요금 인상이 이달 물가 지표에 반영되면서 지난달(23.2%)보다는 오름폭이 확대됐다. 특히 지역 난방비는 2005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가장 많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물가 중 공공서비스 물가는 1.0% 올랐다. 국제항공료(-11.3%), 유치원납입금(-6.2%) 등은 내렸지만 외래진료비(1.8%), 택시료(9.5%) 등은 올랐다. 개인서비스 물가는 5.0% 상승했다. 외식 물가는 6.3% 올랐으며 외식 외 물가도 4.1% 상승했다.

집세는 월세(0.7%)와 전세(0.3%)가 모두 오르면서 0.5% 상승했다.

출고일자 2023. 07. 04
associate_pic3
[서울=뉴시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1.12(2020=100)로 1년 전보다 2.7% 올랐다. (그래픽=전진우 기자) 618tue@newsis.com

구입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을 중심으로 체감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보다 2.3% 상승했다. 상승폭은 2021년 3월(2.1%) 이후 27개월 만에 가장 작았다.

생선, 해산물, 채소, 과일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5개 품목 물가를 반영하는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7% 올랐다. 신선식품지수는 지난 4월 이후 두 달 연속 상승폭이 확대됐다.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한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하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4.1% 상승했다. 근원물가는 14개월 연속 4%대를 웃돌며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넘어섰다. 다만 올해 1월부터 상승폭은 둔화하는 추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전년보다 3.5% 올랐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지난해 물가가 크게 올랐던 점을 고려했을 때 7월까지는 작년 기저효과로 물가가 안정되고 이후에는 하락폭이 둔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국제 원자재 가격, 환율, 공공요금 인상 시기와 폭 등은 물가 상승 요인이지만 국내 경기 회복 등은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출고일자 2023. 06. 30
associate_pic3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 2023.06.30. ppkjm@newsis.com

◎공감언론 뉴시스 gogogirl@newsis.com, rainy71@newsis.com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