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지승환 인턴기자] 지난해 미국 내 디지털자산(가상자산) 관련 범죄 피해액이 13조원을 넘어선 가운데 고령층 피해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 연방수사국(FBI) 산하 인터넷범죄신고센터(IC3)는 23일(현지시각)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2024년 한 해 동안 발생한 디지털자산(가상자산) 관련 신고가 14만 건을 넘었다고 밝혔다. 피해 규모는 93억달러(13조2860억원)로 전년대비 66% 급증했다.
특히, 60세 이상 고령층의 피해가 컸다. IC3은 고령층 피해자로부터 약 3만3000건의 신고를 접수했으며 총 손실액은 약 28억달러(약 4조원)에 달했다고 전했다.
유형을 살펴보면 투자와 관련된 사기에서 가장 많은 피해액이 발생했으며 가장 많은 신고가 접수된 사례는 ‘섹스토션(sextortion)’이었다. 섹스토션은 부정한 방법으로 사진과 영상을 조작해 음란물을 만들어내는 수법이다. 또한 ATM·키오스크를 활용한 디지털자산 사기 역시 주요 사례로 언급됐다.
업계는 디지털자산 관련 범죄가 더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블록체인 분석 기업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는 보고서를 통해 “생성형 인공지능(AI)이 사기 수법에 악용될 수 있다”며 “2025년 역대 최대 규모의 디지털자산 사기 범죄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체이널리시스는 올해 주요 디지털자산 범죄로 북한 해커들에 의한 14억달러(약 1조8000억 원) 규모의 바이빗(Bybit) 해킹 사건을 꼽았다.
전문가들은 디지털자산 범죄가 더욱 정교해지고 있는 만큼 개인과 기업이 사이버 보안 강화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