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문정은 기자] ‘블록체인 규제자유 특구’인 부산에서 지역화폐인 ‘동백전’과 별개로 애초에 특구 사업 중 하나인 디지털 바우처가 또 발행될 예정이다. 현재 부산 동구에서는 자체 지역화폐도 유통되고 있어, 실질 특구 사업으로 구현하고자 했던 토큰 이코노미가 제대로 실행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 지역화폐 ‘동백전’, 지난달 30일부터 발행

지난달 30일 부산광역시와 KT는 블록체인 기반 지역화폐인 ‘동백전’을 발행했다. 이는 KT의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인 ‘기가체인’ 기반이다.

동백전 발행 목적은 골목상권 활성화다. 부산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소상공인 경영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발행됐다. 이 때문에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등에서는 사용이 제한된다. 동백전을 이용하고자 하는 부산 주민들은 동백전 앱이나 제휴 은행을 통해 동백전 전용 체크카드를 발행해 사용하면 된다. 시는 동백전을 사용하는 주민들에게 이달까지 10% 캐시백을 지원하고 있다.

◆ ‘디지털 바우처’가 진짜 블록체인 특구 사업

동백전이 부산시의 지역화폐 사업이라면, 디지털 바우처는 ‘블록체인 특구’ 사업 중 하나이다. 발행 주체는 부산은행이며, 블록체인 플랫폼을 운영할 사업자는 동백전과 동일하게 KT다. 동일한 운영 사업자이지만, 두 디지털 화폐의 플랫폼은 별개로 운영될 예정이다.

디지털 바우처가 동백전과 구별되는 점은 ‘블록체인 특구 사업자’로 선정된 업체들을 위한 디지털 화폐라는 것이다. 앞서 발표된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세부 사업은 ▲물류 ▲관광 ▲공공안전 ▲금융 등 4개 분야다. 구체적 사업 내용과 사업자는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해양물류 플랫폼 서비스(비피앤솔루션, 부산테크노파크) ▲블록체인 기반 부산스마트투어 플랫폼 서비스(현대페이, 한국투어패스) ▲블록체인 기반 공공안전 영상 제보 서비스(코인플러그, 사라다) ▲디지털원장기반 지역경제활성화 서비스(부산은행) 등이다. 즉, 디지털 바우처는 특구 사업자와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 사이에서 유통되는 것이다.

블록체인 기술 활용 목적도 다르다. 지역화폐인 동백전은 기존 종이형 지역화폐를 ‘디지털 화폐’ 형태로 발행해, 유통 전 과정을 투명하게 관리하고 소상공인에게는 수수료 절감을, 소비자에게는 할인 혜택 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반면, 디지털 바우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올라가는 ‘데이터’를 특구 사업자 간에 공유하고 활용하는 목적이 크다. 예를 들어, (특구 서비스) 이용자는 특구 사업자에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특구 (공공) 서비스에 참여해 보상으로 ‘디지털바우처’를 받아 현물 결제 등에 활용할 수 있고, 기업들은 블록체인 플랫폼과 데이터를 마케팅과 홍보에 이용할 수 있다. 개인과 기업, 기업과 기업 간 유기적 연결이 결국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도록 부산시가 기획한 것이다.

부산시는 블록체인 특구 사업이 본격적으로 모습을 드러내는 오는 6월 디지털 바우처를 공개할 예정이다.

◆ 지역화폐 중복…’디지털 바우처’ 참여 이끌까 

하지만 수차례 예고된 디지털 바우처 발행에 앞서 동백전이 먼저 모습을 드러내면서, 시장은 두 디지털 화폐를 동일시 여기는 혼란을 빚고 있다. 더구나 부산 내에서는 특정 지역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소규모 지역화폐도 있어 역할이 중복된다는 지적도 있다.

지난해 8월 부산 동구청은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동백전과 유사한 목적으로 지역화폐인 ‘e바구페이’를 출시했다. 동백전과 구별되는 점은 블록체인 기반 기술이 아니며, 체크카드가 아닌 구청에서 지원하는 선불카드를 통해 이용해야 한다는 점 등이다. 최근 동백전이 출시되면서 동구청은 올해부터 e바구페이를 위한 예산을 받지 못하게 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산시는 ‘디지털 바우처’ 발행도 앞두고 있다. 시 지역화폐가 별도로 발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특구 사업 서비스로만 한정된 디지털 바우처가 과연 토큰 이코노미를 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이용자를 끌어모을 지에 대해 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부산 특구에서 꿈꾸는 토큰 이코노미가 작동하려면 제한된 영역에서 제한된 소수의 사람들만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 아니라, 일상생활 속 다양한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길을 만들어줘야 한다”며 “더구나 기존 결제 수단에서 동백전이라는 대체 수단이 더 생긴만큼 ‘디지털 바우처’ 참여를 위한 강력한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추후 동백전과 디지털 바우처의 호환 여부도 부산시와 KT는 고려하고 있다. KT 관계자는 “초기에는 각자 플랫폼에서 운영되지만, 각각의 플랫폼이 활성화되면 부산시와의 논의에 따라 호환도 가능할 수 있다”고 답했다.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 press@blockmedia.co.kr
▶블록미디어 유튜브: http://bitly.kr/9VH08l
▶블록미디어 텔레그램: http://bitly.kr/0j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