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재집권 이후 첫 경제 성장률 발표가 주목받고 있다. 관세 정책이 본격화되기 전부터 미국 경제에 심상치 않은 조짐이 있었다는 우려가 나온다.
26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오는 30일 1분기(1∼3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을 공개한다. 블룸버그는 GDP 성장률이 0.4%(전분기 대비 연율) 증가에 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 4분기(+2.4%) 대비 크게 둔화된 수치이자, 2022년 2분기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이라고 지적했다.
블룸버그이코노믹스의 애나 웡 애널리스트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인상 예고가 기업들의 수입 확대를 초래해 무역적자가 경제 성장에 발목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 경제 성장세 정체와 경기 침체 우려를 키울 가능성이 크다.
미국 자산 시장의 △주식 △채권 △달러 가치가 최근 ‘트리플 약세’를 보인 것도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여기에 국제통화기금(IMF)은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월 대비 0.9%p 내린 1.8%로 낮췄고, 블룸버그 설문조사에서도 향후 12개월 내 미국 경기 침체 확률이 45%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무역 관련 불확실성 해소와 정책 신뢰 회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도이체방크의 브렛 라이언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강한 경제 성장을 위해 무역전쟁 해결과 정책 신뢰 확보가 시급하다”고 발언했다.
미국 내 여론과 데이터도 변화하고 있다. 구글의 검색 데이터에선 ‘글로벌 금융위기’와 ‘대공황’ 검색량이 각각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CNBC 방송은 이에 따라 불황형 콘텐츠 유행과 이혼 증가 가능성을 언급했다. 반면 야후파이낸스는 경제 지표가 아직 비교적 양호하지만, 다수의 설문조사에서 비관적인 전망이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골드만삭스는 경제 둔화가 여름 중후반에 가시화될 가능성을 내다보며, 물가 상승과 소비·고용 둔화가 주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대다수 경제 악화 신호가 주요 사건 발생 후 약 4개월 뒤에 나타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번 발표는 향후 미국 경제 정책의 방향과 경기 흐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면서 전 세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