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이더리움 커뮤니티가 레이어2 생태계의 단절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해법으로 ‘베이스드 롤업(Based Rollup)’에 주목하고 있다.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은 최근 베이스드 롤업의 빠른 발전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베이스드 롤업은 이더리움 메인넷의 검증자가 거래 순서를 결정하는 구조로, 저스틴 드레이크(Justin Drake)가 2023년 3월 처음 제안했다. 기존 레이어2와 달리 외부 시퀀서를 제거해 검열 우려를 줄이며, 여러 롤업 간 실시간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한다.
타이코랩스의 타이코 알레티아(Taiko Alethia)는 첫 메인넷 베이스드 롤업을 실현한 프로젝트다. 타이코랩스는 지난 3월 서밋을 개최했고, 부테린도 연사로 참석했다. 타이코랩스 COO 호아킨 멘데스 이자르드(Joaquin Mendes Izard)는 디앱 사용성이 조만간 개선될 것이라며, 디파이와 게임이 초기 채택을 주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퍼퍼파이낸스(Puffer Finance)의 유니파이(UniFi)도 베이스드 롤업을 개발 중이다. 이들은 pufETH라는 리퀴드 리스테이킹 토큰을 중심으로 네이티브 수익을 제공하며, 앱체인(Appchain) 경제 모델을 도입해 디앱 개발자들이 수익을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
라이즈(RISE) 프로젝트는 4월 테스트넷을 출시했으며, ‘Shreds’라는 자체 기술로 응답 속도를 10밀리초로 단축했다. 창업자 샘 배트널리(Sam Battenally)는 이미 4개의 온체인 오더북(CLOB) 프로젝트가 라이즈 위에서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26일, 06:05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