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방준비제도(Fed) 제롬 파월 의장의 해임 가능성을 시사하며 글로벌 시장이 요동쳤다.
21일(현지 시간) 미국 주식 선물과 달러 가치는 급락했고, 안전자산인 금은 급등했다. S&P 500 선물은 1.6%, 나스닥 100 선물은 1.8% 하락했다. 다우지수 선물도 1.3% 내렸다. 블룸버그 달러 지수는 0.8% 하락해 1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면, 금은 온스당 3,404.98달러로 2.3% 상승했다.
케빈 해싯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 해임 가능성을 검토 중”이라고 밝혀 시장에 충격을 안겼다. 싱가포르 OCBC의 환율전략가 크리스토퍼 웡은 “연준의 독립성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면 달러에 대한 신뢰도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달러 약세 속에 엔화는 달러 대비 1% 상승했고, 유로는 1.3% 올라 1.1543달러를 기록했다. 파운드화는 0.8% 상승해 1.3397달러가 됐다. 반면, 브렌트유와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각각 2% 하락, WTI는 배럴당 63.13달러로 내려갔다. 유럽 증시는 휴일로 대부분 휴장했고, 일본 니케이225는 엔화 강세 영향으로 1.3% 하락했다.
도이치은행은 중국계 투자자들이 미국 국채를 일부 매도하고 △유럽 국채 △일본 국채 △금으로 자산을 재배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정치적 리스크가 투자 판단에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테슬라는 개장 전 거래에서 3% 하락하고 있다. 웨드부시 증권의 애널리스트 댄 아이브스는 “테슬라는 지금 ‘코드 레드’ 상태”라며 “머스크 CEO는 정부 업무 대신 테슬라 경영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테슬라는 22일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다.
불안정한 시장 속에서도 암호화폐는 강세를 보였다. 비트코인은 2.2% 상승해 86,972달러, 이더리움은 2.3% 올라 1,625달러를 돌파했다. 이는 달러 약세와 안전자산 회피 성향이 디지털 자산에도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시카고 연준의 오스턴 굴스비 총재는 CBS 인터뷰에서 “통화정책의 독립성은 정치적 간섭 없이 운영되어야 하며, 이는 거의 모든 경제학자들의 공통된 입장”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개입 시도에 강하게 반발했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21일, 21:48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