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21일 비트코인뉴스닷컴은 암호화폐 세계에서 오히려 월가가 탈중앙화와 투명성을 더 강조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새로운 크립토 진입자들이 투기 중심의 태도를 보이는 반면, 전통 금융기관들은 오히려 초기 암호화폐 정신을 되살리고 있다는 것이다.
# “이제 기관이 더 ‘탈중앙화’를 원한다”
최근 몇 달 사이, 암호화폐 시장에서 정체성과 철학에 대한 흥미로운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 블랙록, 피델리티 등 주요 전통 금융기관들이 탈중앙화와 투명성, 불변성을 강조하면서 초기 크립토 커뮤니티의 원칙들을 다시 꺼내 들었다.
블랙록 디지털자산 총괄 로비 미치닉(Robbie Mitchnick)은 최근 디지털에셋서밋에서 “우리는 토큰화를 시작할 블록체인으로 이더리움을 선택했고, 이는 당연한 결정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클라이언트들이 △탈중앙화 △신뢰성 △보안성을 중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2020년 이후 진입한 크립토 투자자들은 수익성에만 집중하며 창립 정신과 멀어지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일부는 이를 ‘크립토 허무주의(nihilism)’로 표현한다. 이들 투자자는 △사기 △네트워크 문제 △투명성 결여 등에 실망해 탈중앙화 원칙을 외면하고 있다.
# 이더리움도, 메이커다오도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흔들
초기 탈중앙화를 외쳤던 프로젝트들도 이상을 지키지 못한 사례가 있다. 이더리움은 2016년 다오(DAO) 해킹 당시, 해커의 자금을 되돌리기 위해 하드포크를 단행했다. ‘불변성’이라는 핵심 원칙을 스스로 훼손한 셈이다.
메이커다오의 DAI는 2020년 시장 충격 이후 대부분 중앙화 스테이블코인으로 담보를 바꾸면서 검열 저항성을 잃었다. 솔라나는 잦은 네트워크 중단과 수동 재시작 논란에 휘말렸고, 최근 하이퍼리퀴드는 특정 자산을 시장가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상장폐지해 ‘탈중앙화’ 신뢰를 잃었다.
# “기관은 빠른 수익보다 장기적 가치 본다”
기성 금융기관들은 △단기 수익보다 장기적 가치 △긴 시간 관점 △실용적 태도를 기반으로 암호화폐를 접근하고 있다. 이들은 수년에서 수십 년 단위의 투자를 고려하며, 기술적 진보를 중심에 두고 있다.
이들은 이더리움의 진화나 솔라나의 검증자 확장, 하이퍼리퀴드의 투명한 운영 방식을 높이 평가한다. 반면, 많은 개인 투자자는 여전히 빠른 수익만을 좇으며 크립토의 철학과는 멀어져 있다.
이는 크립토 트위터를 비롯한 커뮤니티에서 기관보다 비관적인 태도가 퍼지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암호화폐의 기본 정신을 이어가는 이들이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가 시장의 건강한 균형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