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부동산 토큰화가 자산 금융 및 거래 방식의 주류로 자리 잡으며 2035년까지 4조 달러 규모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인데스크가 인용한 딜로이트 금융서비스센터 보고서에 따르면, 이 시장은 연평균 27% 성장률을 기록하며 현재 3,000억 달러에서 크게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토큰화는 암호화폐 기술과 전통 금융이 결합된 분야다. 이를 통해 채권, 부동산 펀드, 부동산 등 실물 자산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으로 전환한다. 이러한 과정은 운영 효율성 증가, 저렴하고 빠른 거래, 더 넓은 투자자 접근성을 가능하게 한다.
딜로이트는 복잡한 금융 계약을 자동화하고 간소화할 수 있는 점을 부동산 토큰화의 매력으로 꼽았다. 예를 들어, 부동산 펀드를 온체인으로 출시해 소유권 이전 및 자본 흐름을 코드화된 규칙으로 처리할 수 있다. 실제 사례로는 킨 캐피털의 천토큰 플랫폼이 있다. 이 플랫폼은 신탁 기반 대출을 통해 1억 달러 규모의 부동산 부채 펀드 토큰화를 지원한다.
딜로이트는 부동산 토큰화 발전을 △민간 부동산 펀드 △증권화된 대출 소유권 △미개발 토지 프로젝트 등 세 가지 축으로 설명했다. 특히 토큰화된 부채 증권이 두각을 나타내며 2035년까지 2조3,900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민간 펀드는 약 1조 달러, 토지 개발 자산은 약 5,000억 달러를 차지할 전망이다.
하지만 규제 명확성, 자산 보관, 사이버 보안, 디폴트 발생 시의 시나리오 등의 문제는 여전히 도전 과제로 남아 있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25일, 05:37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