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외신 크립토뉴스에 따르면 테더(Tether), 소프트뱅크(SoftBank), 칸토 피츠제럴드(Cantor Fitzgerald)가 연합해 36억 달러 규모의 비트코인 축적 회사 21캐피탈(21 Capital)을 설립했다. 스트라이크(Strike) CEO 잭 말러스(Jack Mallers)가 21캐피탈의 CEO를 맡는다. 이번 회사는 칸토 피츠제럴드 계열의 SPAC(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인 ‘칸토 에쿼티 파트너스’와 합병을 통해 상장사가 될 계획이다.
21캐피탈은 총 4만2000개의 비트코인 자산으로 출범하며, △소프트뱅크가 9억 달러를 투자해 소수 지분을 보유하고 △테더가 약 15억 달러를 회사 자금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이 회사는 기업들이 암호화폐 ETF를 활용하지 않고 비트코인 투자에 참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며, ‘주당 비트코인(BPS)’ 및 ‘비트코인 수익률(BRR)’ 같은 독특한 지표를 활용할 계획이다.
현재 21캐피탈은 ‘CEP’라는 주식 코드로 거래되지만 곧 ‘XXI’를 새 티커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 회사는 기존 비트코인 중심 기업으로 인식되는 세일러(Michael Saylor)의 ‘스트래티지’와 비교되며, 설립 직후부터 비트코인 기업 경쟁에서 선두 자리를 차지했다.
# 21캐피탈, 비트코인 중심 투자 모델 제시
잭 말러스는 한 인터뷰에서 “우리의 목표는 가능한 많은 자금을 모으는 것”이라며 “주주들에게 비트코인 자산의 증가를 보장하고, 이를 통해 비트코인 투자로 부의 성장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그는 △다양한 시장과 부문에서 자본을 조달하고 △비트코인을 전통 금융 시스템과 융합해 대중 시장에 강력한 가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전략은 새로운 경쟁자가 기존 비트코인 종목 주도 기업들을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더 많은 가능성을 탐색하도록 유도할 것이다.
일부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는 테더, 소프트뱅크, 칸토 피츠제럴드 간의 협력이 지나치게 강력해 보이며, 테더와 칸토 피츠제럴드의 지도층이 미국 금융 고위층과의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 소프트뱅크와 테더의 배경
소프트뱅크는 투자 실패로 여러 차례 논란의 중심에 섰던 기업이다. 창업자인 손정의는 1999년 닷컴 버블 당시 큰 손실을 보았다가 이후 알리바바 투자 성공으로 새로운 전환점을 맞기도 했다. 하지만 위워크(WeWork)와 같은 큰 실패 사례가 재발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이번 21캐피탈 투자가 그의 새로운 성공 사례가 될지, 아니면 또 다른 실패로 이어질지는 시간이 말해줄 것이다.
한편, 테더는 스테이블코인 USDT로 시장을 점유하고 있지만, 법적 문제와 투명성 부족 논란을 계속 겪고 있다. 현재 유럽 시장에서 퇴출된 테더는 미국에서도 강화된 규제를 준수해야 하는 압박을 받고 있다. 21캐피탈 투자는 테더가 기존 스테이블코인 사업 외의 다른 수익 모델을 모색하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 21캐피탈의 암호화폐 시장 및 경제에 미치는 영향
테더, 소프트뱅크, 칸토 피츠제럴드의 연합으로 설립된 21캐피탈은 비트코인 투자 산업의 새로운 선도자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있다. 스트래티지가 오랫동안 독점적 역할을 했던 비트코인 기업 시장에서, 21캐피탈의 등장은 새로운 경쟁과 도전을 예고한다. 그러나 21캐피탈의 비트코인 보유 및 투자 모델이 암호화폐 산업뿐만 아니라 전 세계 경제에 미칠 실질적인 영향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