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이은서 기자] 체인링크(LINK)는 토큰화된 실물자산(RWA) 성장의 핵심 역할을 목표로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18일(현지 시각) 더코인리퍼블릭에 따르면 토큰화된 실물자산은 블록체인에서 가장 큰 기회 중 하나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2030년대에는 RWA의 시장 규모가 수십 조 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예측한다.
# 체인링크, 현실 자산과 블록체인을 연결한다
체인링크의 미션은 실물자산을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등 핵심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오라클 서비스 제공자는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유용하고 투명하며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
지금까지 체인링크는 블록체인 상에서 20조 달러 이상의 거래 가치를 보호해왔다. 이 네트워크는 Cross-Chain Interoperability Protocol (CCIP), 데이터 피드, 준비금 증명(Proof of Reserve), Chainlink Functions 등 온체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개발자와 기관들이 실물 자산을 토큰화하고 검증하며 공공 및 사설 블록체인 간에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체인링크와의 연계를 통한 주요 사례
다수의 주요 기관과 플랫폼이 체인링크를 사용해 토큰화된 자산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개선하고 있다. 코인베이스의 다이몬드 프로젝트는 체인링크의 도구를 사용해 토큰화 된 자산의 전체 수명 주기를 관리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안전한 크로스체인 기능을 제공한다.
파이어블록스는 체인링크랩스와 협력해 은행 및 금융 기관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안전하고 합법적으로 발행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들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의 자산 발행, 가격 책정, 컴플라이언스, 커스터디, 자산 이전을 함께 지원한다.
타우르스(Taurus)는 체인링크와 협력해 보안, 가격 정확성, 블록체인 간 자산 이동 등 RWA 공간의 세 가지 주요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들은 이미 체인링크의 CCIP를 사용해 온체인 간 USDC 이동을 테스트했다.
RWA 플랫폼 오픈에덴(OpenEden) 또한 LINK의 가격 피드 및 크로스체인 도구를 사용해 자사의 USDO 스테이블코인의 기능을 개선하고 있다. 백에드(Backed)는 소닉(Sonic) 및 포트레이크 에셋 매니지먼트(Fortlake Asset Management)와 협력해 기존 자산을 토큰화하고 DeFi에 가져오는 데 체인링크를 활용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프로토콜은 이러한 토큰들의 가격 피드, 담보 검증, 크로스체인 이동을 구동한다.
시그넘(Sygnum)과 피델리티 인터네셔널(Fidelity International)은 체인링크를 사용해 69억 달러 규모 유동성 펀드의 순자산가치(NAV) 데이터를 온체인으로 가져오고 있다. 이 이니셔티브는 실시간 업데이트와 더 나은 펀드 데이터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 스타트업들의 체인링크 활용 증가
이 오라클의 RWA 제휴 가운데 또 다른 핵심 사례는 디지털 투자 매니저 Fasanara다. 이 스타트업은 최근 폴리곤(Polygon) 블록체인에 머니마켓 펀드를 출시했다.
이 회사는 프로젝트의 도구를 사용해 자산 충족 여부를 검증하고 체인 간 펀드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Spiko는 CACEIS와 협력해 유럽연합 최초로 유로화 및 달러화 머니마켓 펀드의 NAV 데이터를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온체인화하고 있다. 이는 유럽 내 펀드 투명성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페이팔의 PYUSD 스테이블코인은 팍소스(Paxos)가 발행하며 이더리움 상에서 체인링크 가격 피드를 채택했다. 이 통합은 정확하고 탈중앙화된 가격 데이터를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리플의 RLUSD 스테이블코인 또한 신뢰할 수 있는 가격 제공을 위해 체인링크에 의존하고 있다. 이는 이 스테이블코인이 DeFi 애플리케이션에서 더 많은 활용도를 얻는 데 기여하고 있다.
# LINK 가격, 기대치는 충족할까?
이처럼 많은 유명 파트너십과 채택이 확대됨에 따라 체인링크 가격 상승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많다. 19일 오전 8시 코인마켓캡 기준으로 ((LINK))는 12.6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지난 24시간 동안 1.93% 상승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