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수 년간 꼬리를 무는 버블 경고에도 건재함을 과시했던 중국 건설 부동산 시장이 벼랑 끝 위기에 내몰렸다.

1조9000억 위안(3000억달러)에 달하는 빚더미에 올라 앉은 헝다그룹을 중국 정부가 구제하지 않을 경우 공급 업체를 중심으로 건설업계의 줄도산과 부동산 시장의 버블 붕괴가 불가피한 상황.

중국 2위 주택 건설 업체 에버그란데(헝다그룹)의 파산 위기가 건설 붐을 앞세워 고성장을 이룬 이른바 ‘시멘트 경제’의 민낯을 드러내는 단면이라는 지적이다.

지구촌 금융시장이 패닉을 연출한 가운데 월가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실물경제와 금융시스템을 무너뜨리지 않으면서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진화하는 데 ‘신의 한 수’를 보여줄 것인지 여부에 시선을 고정하는 모습이다.

# 금융시장 이미 디폴트에 무게

1차적인 고비는 헝다그룹이 5년 만기 달러화 표시 채권에 대한 이자 8400만달러를 지급해야 하는 오는 23일이다.

이날 업체는 역내 채권에 대한 이자 2억3200만위안(3600만달러)로 지급해야 한다. 이자 지급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채권자들에게 이자를 제공하지 못할 경우 공식적인 디폴트가 성립한다.

20일(현지시각) 홍콩증시에서 거래되는 헝다그룹 주가는 장중 한 때 19% 폭락한 뒤 낙폭을 10%로 축소하며 거래를 마쳤다.

연초 이후 주가는 80% 이상 내리 꽂히며 투자자들 사이에 번지는 비관론을 반영했다. 업체의 장단기 채권 역시 휴지 조각으로 전락한 상황.

지난 1996년 광저우에서 간판을 올린 헝다그룹은 중국의 부동산 신화를 주도한 거대 건설사다. 골드만 삭스에 따르면 헝다그룹의 자산 규모는 2조위안에 이른다. 이는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2%에 이르는 수치다. 

업체가 최종 파산하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경우 중국 경제와 금융시스템에 몰고 올 충격을 짐작하게 하는 대목이다.

헝다그룹의 대차대조표에서 확인된 부채 규모가 3000억달러로 집계됐지만 시장 전문가들은 이 밖에 ‘숨은 채무’가 상당한 규모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헝다그룹의 부채 위기가 수면 위로 본격 부상한 것은 지난 8월부터다. 업체로부터 공사 대금을 지급받지 못한 하청 업체 및 공급 업체들의 소송이 꼬리를 물고 있다는 소식이 주요 외신을 통해 전해지면서 신용시장을 중심으로 투자자들이 경계감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이어 지난달 업체가 디폴트 리스크를 경고하는 등 숨막히는 상황이 전개됐고, 중국 정부가 전면에 나서지 않을 경우 파산이 불가피하다는 진단이 내려졌다.

같이 읽으면 좋을 기사
[자료] 헝다그룹 부채 및 부도 채권 규모..최소 356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