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24일 미국 증시는 이틀간의 반등 이후 다시 관망세로 돌아섰다. 미·중 무역협상에 대한 기대가 과도했다는 인식과 함께 백악관의 불확실한 정책 행보가 투자자들의 부담으로 작용하며 차익 실현이 이어졌다.
S&P 500 선물은 0.3%, 나스닥 100 선물도 0.3% 하락했고, 다우존스 선물은 0.5% 하락했다. 유럽 Stoxx 600은 0.1% 하락했고, MSCI 세계지수는 보합세를 기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공정한 거래 가능성을 언급하며 관세 일부 조정을 시사했지만,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일방적인 관세 인하 계획이 없다고 밝혀 논란을 더했다. 중국 정부는 모든 일방적 관세 철회를 요구하며 양국 간 입장차를 재확인했다.
유니언방케르의 외환전략 책임자 피터 킨셀라는 미국 내 정책 메시지 충돌로 시장의 방향성을 잡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미국 정책의 불확실성 확대로 인해 스위스프랑, 일본 엔화, 금 등 안전자산 수요가 급증했다. 달러 지수는 0.4% 하락했고, 엔화는 0.8% 상승했다. 금 가격은 1.6% 올라 온스당 3,341.64달러를 기록했다.
IBM은 실적 발표 이후 7% 하락했고, 프록터앤갬블(P&G)은 실적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하며 주가가 하락했다. 이는 미국 기업들이 무역 전쟁으로 인한 충격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도이치은행은 관세 충격이 미국 기업에 치명적이라고 경고하며, S&P 500의 연말 목표치를 12% 하향 조정했다.
디지털 자산 시장도 약세를 보였다. 비트코인은 1.4% 하락해 92,347달러, 이더리움은 3% 하락해 1,742달러 수준에서 거래되었다. 10년물 미 국채 수익률은 4bp 하락한 4.34%를 기록했고, 독일과 영국의 국채 금리도 모두 하락했다. 이는 시장이 단기적으로 위험 회피 성향으로 전환되었음을 보여준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24일, 21:40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