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제롬 파월에 대한 불만을 드러냈지만, 금융시장에 미칠 파장을 고려해 즉각적인 해임에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1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을 인용해, 그가 파월 의장을 해임할 경우 현재의 불안정한 금융시장에 심각한 변동성을 초래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이 기준금리를 인하하지 않는 점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하며, 임기 내 교체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으로 인한 물가 상승과 경제 성장 둔화를 경고한 파월 의장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며 압박했다. 하지만 연방준비법에 따르면, 연준 이사는 정당한 사유로만 해임이 가능하며, 대통령이 정책적 이견만으로 의장을 해임할 법적 권한은 없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련 법적 문제와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을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파월 의장을 대체할 방안을 구상하며 연준 이사 출신 케빈 워시를 후보로 검토한 적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참모들은 파월 해임이 법적 논란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금융시장에 심각한 충격을 줄 수 있다고 보고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이러한 조언을 수용하며 즉각적인 행동을 자제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이 정치적 이유로 금리를 높게 유지한다고 의심하고 있다. 그러나 1929년 대공황과 같은 경제적 위기를 초래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을 신중하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 상호관세 발표 이후 주가 폭락이 금융시장에 큰 혼란을 초래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불안을 더욱 키운 것으로 분석된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국제적인 관세 협상의 여지를 열어두기 위해 90일간 상호 관세를 유예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는 금융시장 안정에 대한 중요성을 반영한 판단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