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문예윤 인턴기자]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자회사 위믹스(WEMIX) 재단이 최근 발생한 해킹 사고로 상장폐지 위기에 놓인 가운데, 11일 홀더(코인 보유자) 간담회를 열어 향후 계획과 전략을 공유했다. 디지털자산(가상자산) 거래소 공동협의체(DAXA)와의 소통을 이어가며 규제 준수를 최우선으로 삼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석환 위믹스 대표는 이날 간담회에서 “디지털자산 거래소 공동협의체(DAXA)와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다”며 블록체인 사업에 대한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그는 “단기 성과보다는 장기적 지속 가능성을 중심으로 전략을 이어가겠다”며 “한국 상장사 자회사로서 국내 규제를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게임을 핵심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으로 삼고 이를 기반으로 거래량과 사용자 수를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그는 “외부 게임사와의 협업이 곧 발표될 예정”이라며 “출시 이후에는 플랫폼의 실질적인 성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위믹스 보유자 대상 혜택과 마케팅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 대표는 “메인넷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음을 인정한다”며 “단순 보상에서 벗어나 콘텐츠를 결합한 실질적인 전략으로 전환하겠다”고 말했다.
또 위믹스 보유자를 플랫폼 지지자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들을 위한 지갑 기반 혜택 프로그램을 기획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재단은 위믹스 내 토큰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거래 통화인 ‘위믹스달러’를 ‘위믹스’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다만 게임사와 자체 게임 토큰 대신 위믹스를 사용하는 방식에 대해 입장 차가 있어 조율이 필요한 상황이다. 디지털자산 결제 서비스 위믹스페이도 기존 플랫폼과의 충돌 가능성 등 해결 과제가 남아 있다.
한편, 위믹스는 장현국 넥써스 대표와의 갈등설에도 놓여 있다. 장 대표는 과거 위믹스의 핵심 인물이었으나, 최근 독자적인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재단과 노선을 달리하고 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관련 갈등이나 향후 협력 여부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