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지난 2주 동안 비트코인(BTC)이 바이낸스로 대규모 유입되며 매도 신호인지 상승 신호인지 논란이 일고 있다. 전문가들은 의견이 엇갈린다.
바이낸스의 비트코인 유입은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과 △4월 10일 예정된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둔 시장 상황 때문이다.
크립토퀀트의 마르튠 레흐터스콧은 “바이낸스의 비트코인 보유량이 2만2106BTC 증가해 총 59만874BTC로 늘었다”고 언급했다. 이는 약 18억2000만 달러에 달한다. 그는 “거시경제 불확실성을 회피하려는 투자자 움직임”으로 해석했다.
거래소로 디지털자산이 유입되면 통상 매도 신호지만, 스윕트엑스의 파브 헌달은 “대규모 유입이 반드시 매도를 의미하지 않는다”며 “바이낸스가 높은 거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핫 월렛으로 자산을 이동 중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의 관세 유예 이후 며칠이 중요하다 덧붙였다.
트럼프는 9일 중국 이외 국가에 대해 관세를 10%로 낮추며 “상호 관세” 정책을 90일간 유예한다고 발표했다. 반면, 중국에는 125%로 관세를 높였다. 헌달은 “미국과 중국 간의 긴장 상태는 구조적 리스크”라 설명했다.
또 다른 분석가 매튜 하일랜드는 미국 물가지표를 비트코인 상승 변수로 보았다. 그는 “3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약 2.5% 수준으로 예상돼 비트코인 추가 상승을 견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3월 12일 발표된 CPI는 예상치인 3.2%를 하회한 3.1%였다. 향후 CPI는 암호화폐 시장 변동성을 가늠할 중요한 지표로 전망된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0일, 13:43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