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지난 4월 10일, 바나는 ‘X 스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금융화의 미래와 VRC-20 표준 업그레이드를 논의하는 패널 토론을 개최했다. 쇼얼리서치(Shoal Research), DLP랩스(DLP Labs), 주부AI(ZuvuAI) 등 주요 기업들이 참여해 데이터 기반 토큰 생태계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토론의 주요 내용은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소유하고 수익화하는 새로운 탈중앙화 데이터 생태계 구축이었다. 바나는 VRC-20 데이터 토큰 표준을 통해 데이터 소유자의 권리를 보장하고자 한다. 쇼얼리서치의 창업자 게이브는 “데이터는 NFT나 밈코인 이후 새로운 자산 클래스로 부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바나의 공동 창업자 안나 카즐라우스카스는 “VRC-20 표준을 통해 데이터의 자유로운 유통과 보상을 가능케 한다”며 기존의 중앙화된 데이터 시스템의 한계를 지적했다. 이번 업그레이드는 △바나 토큰을 통한 자동 유동성 추가 △데이터 검증자 네트워크를 통한 신뢰성 강화를 핵심으로 한다. 안나는 “초기 3개월 동안 약 1천200만 건의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온보딩됐다”고 설명했다.
DLP랩스의 창업자 라이언은 차량 데이터 제공을 예로 들어 다양한 활용 사례를 소개했다. 테슬라 운전자들이 VRC-20 기반 보상을 받는 구조로 데이터 제공자가 자산 가치에 참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주부AI의 빅터는 AI 라우터 개발을 통해 데이터 평가가 AI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덧붙였다.
바나는 데이터 거래소, 데이터 선물 거래소, 데이터 인덱스 등의 금융 상품 출현을 예측했다. 또한, 데이터 제공자가 수익 구조에 참여하는 모델이 기존 데이터 독점 구조를 분산시킬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안나는 “3년 후에는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 토큰이 발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X 스페이스는 데이터 소유권이 개인에게 돌아가고, 이에 따른 수익 구조를 형성하는 데이터파이의 개념을 구체화했다. 이는 Web2 플랫폼에 의존하던 데이터 시장을 탈중앙화된 데이터 금융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2일, 21:03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