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부 감시 완화 요청…바이낸스US 지분 인수 등 타진
창펑자오 사면 등 트럼프와 ‘거래’ 모색
[블록미디어 이정화 기자]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미국 재무부에 자금세탁 방지 감시 해제를 요청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11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 가족이 관여한 암호화폐 프로젝트와 거래를 추진하며 미국 시장 복귀를 모색 중이다.
지난달 바이낸스 고위 임원들이 미국 재무부 관계자들과 만나 △감시관 해제 △감시 기간 단축 등을 요청한 사실이 알려졌다. 이는 바이낸스가 2023년 자금세탁 방지법 위반 혐의로 유죄를 인정하고, 총 43억 달러의 벌금을 낸 뒤 처음으로 미국 규제 완화를 공개 요구한 사례다.
이와 함께 바이낸스는 트럼프 가족이 설립한 암호화폐 기업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이 발행 예정인 스테이블코인 ‘USD1’ 상장도 협의 중이다. 이 스테이블코인이 상장되면 트럼프 일가는 막대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USD1은 바이낸스가 만든 블록체인 BNB(BNB) 상에서도 발행될 예정이다.
트럼프 측과의 접점, ‘사면’과 미 시장 재진출 포석
바이낸스는 이번 논의를 통해 미 시장 재진출의 발판을 마련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창업자인 창펑 자오(CZ)는 이미 형기를 마쳤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사면을 받기 위해 정치권과의 접촉을 늘리고 있다. 자오는 과거 테러자금 유입 등으로 인한 책임을 인정하고 징역 4개월형을 받았었다.
트럼프 가족 측은 바이낸스의 미국 법인 ‘바이낸스US’에 지분 참여하는 방안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2월 아부다비에서 열린 VIP 암호화폐 회의에서 자오와 트럼프의 아들 에릭 트럼프가 함께 등장했고, 이 자리에서 ‘암호화폐 황금시대’를 예고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이 회의 이후 양측의 협력이 본격화됐으며,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법무부의 암호화폐 유닛 해체 △기업 감시 프로그램 중단 등 규제 완화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트럼프 시대, ‘암호화폐 재도약’ 또는 정경유착
바이낸스는 감시관 해제가 “비효율적이고 비용이 많이 든다”고 주장하며 규제 완화를 적극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친암호화폐 기조가 구체화되면서, 바이낸스는 내부적으로 위험 고객에 대한 규제 기준을 완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이번 거래가 암호화폐 업계의 회생 기회라는 시각도 있다. 하지만 바이낸스와 트럼프 가족이 손잡는 상황에 대해, 일각에서는 △정치권과의 밀착 △사면을 통한 회피 △정경유착 등의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월드 리버티에는 트론(Tron) 창업자인 저스틴 선도 참여하고 있으며, 미 증권거래위원회는 선을 상대로 한 소송을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CZ가 사면을 전제로 선에 대한 증언을 하는 방안도 논의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선 측은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