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 올해 마지막 기준금리 결정…최종 3.25% 포인트 ‘전망’
#연준 연일 매파 발언 “긴축 불확실성 부담 작용 증시 약세 흐름”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이번 주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내부에서 매파적 발언이 잇따르며 투자심리가 위축돼 증시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미국의 가장 큰 할인 기간인 ‘블랙프라이데이’가 시작되면서 소비가 크게 늘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는 한국은행이 올해 마지막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개최한다. 시장에서는 미국의 긴축 속도 조절 가능성과 최근 들어 환율이 안정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한은의 빠른 금리 인상 필요성이 감소했다고 해석한다. 이번에는 ‘베이비스텝(기준금리 한 번에 0.25% 인상)’에 그칠 것이란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번 주는 미국 연준 고위 인사들의 매파적 발언이 연이어 나오면서 투자심리가 꽁꽁 얼어붙을 가능성이 높다.

최근 시장은 연준이 긴축 속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상승세를 보였는데 매파적 발언이 나오자 하락세로 돌아섰다.

연준 내 매파로 불리는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은행 총재는 지난 17일(현지시간) 켄터키주 루이빌에서 열린 한 행사 연설에서 “정책금리가 충분히 제약적으로 되려면 최소 5%~5.25%까지 인상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가 연설에서 사용한 도표에는 충분히 제약적인 금리 수준이 5%~7%로 제시됐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블러드 총재는 올해 모두가 ‘중립금리(2.5%내외)’를 얘기할 때 4.5% 기준금리를 얘기하며 금융시장에 긴장감을 높인 인물”이라며 “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모두 불라드 말대로 왔다”고 했다.

이어 “불라드 총재의 발언으로 시장은 다시 한번 연준의 ‘최종금리 경로에 대한 고민’에 빠질 것”이라며 “발언 이후 시장은 7% 금리에 초점을 맞추면서 국채금리와 달러가치가 오르고 증시는 일시적으로 낙폭을 키웠다”고 덧붙였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도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및 일부 대형 테크주 반등이라는 긍정적인 재료에도, 불라드 총재 발 긴축 불확실성이 부담으로 작용하면서 약세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비둘기파와 매파 간의 기 싸움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비둘기파 인사인 레이얼 브레이너드 연준 부의장과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은 총재 등은 긴출 속도를 늦춰야할 수 있다는 피력했다”면서 “반면 매파 인사인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해, 라파엘 보스틱, 아틀랜타 연은 총재, 토머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 등은 물가안정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제활동 참가자들의 낙관적 전망이 늘어나게 되면 기대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우려도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연준의 매파적 태도와 물가 둔화 모멘텀 사이의 기싸움이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와 함께 미국에서는 블랙프라이데이 세일이 시작된다. 블랙프라이데이는 추수감사절(매년 11월 네 번째 주 목요일) 다음날인 금요일부터 크리스마스와 새해 시즌까지 진행되는 최대 쇼핑 시즌이다.

김 연구원은 “미국 소비자들의 최근 소비동향을 알 수 있는 10월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1.3% 증가(컨센서스 +1.0%)해 여전히 강한 수요를 보여준다”면서도 “그동안 가파르게 인상된 기준금리가 시차를 두고 경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경기침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고 미국의 대형 유통업체들 간에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고 했다.

국내에서는 오는 24일 한국은행이 올해 마지막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통위가 열린다.

시장에서는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현 3%에서 3.25%로 0.25%포인트만 인상할 것이란 시각이 우세하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11월 FOMC에서 연준이 속도조절을 언급한 가운데, 10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와 생산자물가의 상승률이 둔화되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며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조절로 한은의 빠른 금리인상 필요성이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달러당 1400원을 상회하던 원화도 1300원대 중반을 기록하는 등 환율도 상당 부분 안정됐다”며 “지난 10월 금통위에서 빅 스텝을 결정한 이유가 원화 약세 대응이었다는 점에서 한은의 추가 50bp 인상 명분은 낮아졌다”고 덧붙였다.

yunyun@newspim.com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전문 기자가 요약 정리한 핫뉴스, 블록미디어 카카오 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