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이재준 기자 = 일본은행의 국채 보유잔고가 작년 말 시점 13년 만에 감소로 돌아서면서 양적완화 궤도에 수정을 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닛케이 신문 등은 5일 일본은행이 공표한 영업매순보고(營業每旬報告)를 인용, 2021년 말 국채 보유잔고가 521조엔(약 5388조1300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14조엔 줄었다고 전했다. 국채 보유잔고 감소는 지난 2008년 이래다.

일본은행은 코로나19에 대응하고 2% 물가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 수단으로서 국채를 사실상 무제한 매입한다는 정책을 펴왔다.

구로다 하루히코(黑田東彦) 일본은행 총재는 취임한 2013년 양적확대를 중심으로 하는 금융정책을 통해 조기에 2% 물가목표를 실현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따라 2013~2016년에는 연간 60조~80조엔 정도의 국채 매입 잔고를 늘렸다.

그래도 2% 목표가 멀어지자 2016년에는 금융정책의 중점을 양에서 금리로 변경하고 국채 매입량을 점차 줄였다.

2020년 코로나19이 확산하면서 연간 장기국채 매입 80조엔의 상한기준을 없애기도 했다.

당시 일본은행은 무제한으로 국채를 사들일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지만 내심으로는 기준을 없앰으로써 필요하면 매입량을 유연하게 줄이는 환경을 조성하기를 기대했다.

실제로는 무제한 매입 시행 직후에는 단기국채를 포함한 구입량이 증대했지만 2021년에는 축소했다.

지난해 3월에는 상장지수 펀드(ETF)도 시장이 진정됐을 때는 매입을 보류한다는 방침으로 전환하면서 4월 이후 급감했다.

일본은행이 양적완화 궤도 수정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은 매입량을 줄여도 금리를 낮게 억제하는 게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일본은행 자체의 재무 리스크를 감축하기 위한 전략이기도 하다. 일본은행 국채 보유량은 2021년 11월 말 시점에 529조엔으로 구로다 총재 취임 전인 2012년 말 113조엔의 4.7배에 이른다.

2% 물가목표를 달성해 금리인상에 나서는 국면에 들어가면 민간 금융기관에 지급하는 당좌예금의 금리가 보유국채에서 얻는 금리 수입을 웃도는 어려움에 빠지는 리스크도 감안했다.

지난해 각국 중앙은행은 인플레에 대응하고자 차례로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를 결정했는데 일본은행은 다른 사정에서 사실상 가장 빨리 테이퍼링에 착수한 셈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yjjs@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같이 보면 좋은 기사

레이 달리오 “현금·채권 보유는 바보…질서 잡힌 나라에 투자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