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장·금융감독원장 교체 가능성 거론
#상생금융 확대 여부에 금융권 비상한 관심
#당국 해명에서 부동산PF발 4월 위기론 여전

[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제22대 국회의원선거가 다가오면서 총선 이후 변화에 대한 금융권의 관심도 뜨거워지고 있다. 금융당국 수장들의 교체 가능성과 함께 상생금융, 부동산PF 등 주요 현안 향방이 총선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금융시장이 대대적인 변화에 직면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7일 금융권에서 가장 큰 관심을 보이는 사안은 금융당국 수장들의 교체 여부다.

2022년 7월 제9대 금융위원장에 오른 김주현 위원장은 작년말 정부의 공매도 금지 방침에 부정적인 의견을 내비쳤다는 이유로 교체설에 휘말렸다. 이후 금융정책 연속성을 이유로 개각에서 제외됐지만 여전히 입지에 대한 다양한 전망이 나오고 있다.

당초 총선 차출 가능성이 거론됐던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역시 총선 이후 다른 중책을 맡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2022년 6월 15대 금융감독원장에 임명된 이 원장은 윤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분류되며 총선 결과에 따라 내각에 합류할 수 있다는 관측이 힘을 받고 있다.

상생금융의 향방도 관심사다.

이미 2조원이 넘는 상생금융을 시행한 금융권에서는 추후 얼마나 더 큰 지원을 요구받을지가 실적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과제이기 때문이다. 특히 대통령이 직접 금융권을 ‘카르텔’로 지목하며 강한 압박을 해왔다는 점에서 이같은 부정적인 인식이 얼마나 더 이어질지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다.

다만 야권에서도 고금리로 극대화된 금융권의 이자수익을 서민들을 위한 정책으로 환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는 점에서 총선 결과와 상관없이 상생금융은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주된 반응이다.

태영건설 워크아웃으로 촉발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위기론에 대한 갑론을박도 여전히 뜨겁다.

총선이 끝나면 부동산PF 부실대출이 부각되면서 주요 건설사들이 연달아 도산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게 이른바 ‘4월 위기설’의 핵심이다. 이미 금융당국이 금융권 부동산PF 연체규모를 공개하며 특정시기에 만기가 몰렸다는 지적도 사실이 아니라며 적극 해명에 나선바 있다.

그럼에도 시장에서는 장기화되고 있는 부동산 경기침체와 맞물려 위기론을 우려하는 여론이 적지 않다. 금융당국이 강조하고 있는 부동산PF 정상화 작업이 구체적인 성과를 거두기 전까지는 위기설이 진화되기 싶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밖에도 산업은행 부산 이전 문제도 총선 결과에 따라 추진 여부 자체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홍콩ELS 배상 문제는 이미 금융권이 당국 방침에 맞춰 자율배상에 착수했다는 점에서 총선과는 무관하게 피해자 협의 여부가 관건이라는 평가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번 총선에서는 유난히 의미있는 정책은 보이지 않고 여야간 ‘정쟁’만 난무하고 있다는 점에서 은행 차원에서 정책 분석 등의 특별한 작업은 거의 없는 상태”라며 “이미 시행중인 주요 사안들의 향방이 달라질 수 있는만큼 결과에 따라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peterbreak22@newspim.com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