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19일 열린다. 시장에선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3.5%에서 동결하고 2주 후 열리는 미국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관망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에 따른 국제유가 불확실성에 물가 압력이 여전한 가운데 경기 부진과 가계부채 취약차주와 부동산PF 등 금융불안정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상황이기 때문이다.

19일 금융시장에 따르면 다수의 시장 전문가들은 이날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3.5%에서 동결할 것으로 내다봤다.

금융투자협회 조사에서도 금리 동결 의견이 높다. 지난 5일부터 11일까지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응답자 90%는 이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한은이 금리를 3.5%로 결정하면 지난 2월에 이어 여섯 차례 연속 동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난 2021년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이어져 온 금리인상 사이클이 사실상 종료됐다고 해석된다.

시장에서 금리 동결을 높게 점치는 이유로는 우선 물가 불확실성이 높다는 점이 거론된다. 소비자물가는 7월 2.3%로 내려왔지만, 8월(3.4%)과 9월(3.7%) 다시 3%대로 올라온 상태다. 이·팔 분쟁에 국제유가가 어디로 튈지 모르는 상황에서 물가 경로를 예단하기 어려워졌다.

연준의 통화 정책도 안갯 속이다. 9월 미국 FOMC 직후 공개된 점도표에서는 연내 1차례 금리 인상이 전망되고, 내년 금리 인하 횟수는 당초 4번에서 2번으로 줄었다.

하지만 최근 이·팔 분쟁에 따른 불확실성이 높아진데 다 국채 금리 상승은 사실상 긴축 효과를 내며 연준의 금리 동결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연준 인사들도 최근 추가 금리 인상에 대해 회의적인 의견을 보이며 향후 전망이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경기 회복세 역시 안갯 속이다. 최대 교역국인 중국의 경기가 본격적으로 반등하지 못하며 우리 경기 전망을 어둡게 하는 가운데 국제유가 변수까지 더해졌다. IMF(국제통화기금)는 최근 우리나라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7월 2.4%에서 2.2%로 낮춰 잡은 상태다.

가계부채도 금리 인상도 인하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9월 은행권 가계부채가 1080조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한 가운데 상반기 취약차주는 300만 명에 달한다. 비은행권 부동산PF 익스포저(위험노출액)상반기 121조원에 육박한다. 금리를 낮추면 가계부채가 급등하고, 올리면 금융 불안정이 야기될 수 있다.

이창용 총재는 금통위 이후 열리는 기자 간담회에서 추가 인상 여지를 남기는 매파적 메시지를 던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금리 인하 기대감을 사전에 차단해 외환 시장 안정과 가계부채 증가세 등의 사전 차단을 위해서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물가와 가계부채와 성장률 등 고민해야 할 것들이 많다”면서 “우선 동결한 후 매파적 시그널을 보이며 미국의 금리 결정을 관망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jh32@newsis.com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