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정아인 기자]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2년만에 50%를 넘겼습니다. 알트코인 중에서는 클레이튼 프로젝트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이번 주 가격 움직임이 큰 코인들을 정리했습니다.

# 도미넌스

코인 도미넌스는 누적 암호화폐 시가총액 대비 해당 코인의 시총을 뜻합니다. 도미넌스 비율은 영향력을 뜻합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솔라나, 폴리곤, 카르다노, 리플 등을 ‘증권(stock)’으로 명시했죠. 비트코인, 이더리움, 기타 알트코인들의 도미넌스를 보시죠.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6월 20일을 기점으로 50을 넘었다. 출처: Tradingview]

# 비트코인 강세

비트코인이 31K를 터치했습니다. 도미넌스도 51을 넘겼죠. 이는 2021년 5월 이후 2년 만입니다. 이더리움은 2021년 5월부터 평균 도미넌스 수치가 큰 변동 없이 약 19에 수렴합니다.

비트코인과 증권성 논란에서 완전히 배제된 ‘디지털 골드’입니다. 여기에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청문회에서 “암호화폐는 어느 정도 지속력이 있어 보인다. It(Crypto) appears to have some staying power”라고 발언해 21일부터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해 한 주만에 약 18% 이상 올랐습니다.

FTX 사태 이후 암호화폐 시장 전반이 충격에 휩싸여 있던 올해 초 대비 비트코인 가격은 80% 이상 상승했습니다.

한 주간 각 코인별 도미넌스 변동률은 대동소이했습니다.6월 23일 비트코인(BTC) 도미넌스는 51, 이더리움(ETH)은 20, 테더(USD)는 7.3, 비앤비(BNB) 3.34, 리플(XRP) 2.28, USDC 2.51, 카르다노(ADA) 0.9, 도지코인(DOGE) 0.82, 솔라나(SOL) 0.59, 폴카닷(DOT) 0.52, 기타 8.9 입니다. (트레이딩뷰 기준, 23).

[최근 5간 암호화폐 시장 도미넌스, 출처: Tradingview]

# 페페 77% 급등 vs 토네이도캐시 50% 급락

기타 코인들의 가격 움직임도 보시죠. 밈코인이 크게 올랐습니다. 반면 토네이도캐시는 예고된 토큰 언락에 따라 약 50% 급락했습니다.

밈코인 페페(PEPE)가 74.57% 급등했습니다. 페페의 시총은 64위로 615.345M 달러에 이릅니다.

비트코인 급등에 따라 비트코인 관련 토큰들도 함께 상승했습니다. 스택스(STX)는 44%, 비트코인캐시(BCH)는 36.56%, 상승했습니다.

중국의 레이어1 블록체인인 컨플럭스(CFX)는 44.23% 상승했습니다. 컨플럭스는 지난 7일 홍콩 웹 3.0 연구소의 선임 회원으로 합류했습니다.

# 클레이튼 기반 프로젝트 급등

클레이튼 위에 올라간 마브렉스와 슈퍼워크의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국내 게임사 넷마블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마브렉스의 토큰인 마브렉스(MBX)도 일주일 전 대비 45.47% 올랐습니다. 마브렉스는 김남국 의원이 상장 전 매수한 코인 중 하나입니다. 김남국 의원이 매수한 코인은 모두 클레이튼 기반입니다. 거래량의 약 60%가 빗썸에서 발생합니다(코인마켓캡 기준).

한국 M2E 프로젝트인 슈퍼워크(GRND)도 35.7% 상승했습니다. 슈퍼워크는 지난달 코인원, 이번 주 빗썸에 원화 상장했습니다.

ABBC 코인(ABBC)과 토네이도캐시(TORN)는 각각 56.75%, 49.5% 하락했습니다. ABBC 플랫폼은 두바이에 법인을 둔 결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현재 ABBC 플랫폼을 사칭 유저들이 현재 ABBC 텔레그램방 대상자를 상대로 개인 메세지를 보내고 있어 유의해야 합니다.

토네이도캐시는 이른바 토큰의 출처를 알 수 없게 만드는 믹서입니다. 오픈소스 솔루션으로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기반의 토큰들은 토네이도캐시를 통해 포크할 수 있습니다. 7월 6일 토큰 총 물량 6.06%를 언락합니다.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전문 기자가 요약 정리한 핫뉴스, 블록미디어 카카오 뷰(클릭)

같이 보면 좋은 기사

“ETF 신청 러시로 비트코인 ‘위대한 축적 경쟁’ 시작한다”–앤서니 폼플리아노

‘프라임 트러스트’ 암호화폐 입출금 중단… 미국판 하루인베스트 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