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확산 우려와 미국 증시 하락 여파로 하락”

[서울=뉴시스] 류병화 기자 = 코스피가 물가 압력 경계감에 1% 하락해 2310선으로 밀렸다. 코스닥은 2%대 약세를 보였다.

12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340.27)보다 22.51포인트(0.96%) 내린 2317.76에 장을 닫았다. 지수는 전일보다 0.40% 내린 2330.88에 출발해 장중 낙폭을 키우며 거래를 마쳤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2385억원, 450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반면 개인은 홀로 2678억원을 매수했다.

업종별로는 대체로 약세를 보였다. 비금속광물(-3.33%), 증권(-3.26%), 섬유의복(-2.93%), 철강금속(-2.79%), 종이목재(-2.24%), 운수창고(-2.16%), 건설업(-1.96%) 등이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엇갈렸다. 대장주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보다 700원(1.19%) 내린 5만8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SK하이닉스(-0.43%), 네이버(-2.91%), LG화학(-1.53%) 등이 하락했다.

반면 LG에너지솔루션(1.52%), 삼성바이오로직스(0.60%), 삼성SDI(0.19%), 기아(0.90%) 등은 올랐다. 현대차는 보합 마감했다.

국내 증시는 오는 13일 발표될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앞두고 경계감이 커졌고 중국의 코로나19 봉쇄로 더욱 투자심리가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CPI가 지난 5월 8.6%보다 높은 8.8%가 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예상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하면 연방준비제도(Fed)가 대대적인 긴축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또 중국은 코로나19 감염 확산으로 마카오의 카지노를 지난 11일부터 일제히 폐쇄하는 준봉쇄 조치에 들어갔다. 카지노 전면 페쇄 명령은 2020년 초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된 이후 처음이다.

이에 따라 환율은 장중 연고점을 경신하는 등 급등세를 보였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303.9원)보다 8.2원 상승한 1312.1원에 마감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미국 증시 하락 여파에 투자심리가 위축되며 국내 지수들이 약세 흐름을 보였다”며 “금융통화위원회를 하루 앞두고 ‘빅스텝’ 예상에 대한 경계감과 환율 연고점에 외국인 매물이 출회되며 부담을 줬다”고 평가했다.

간밤 미국 뉴욕증시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경계감과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등으로 하락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4.31포인트(0.52%) 내린 3만1173.84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44.95 포인트(1.15%) 밀린 3854.43로 장을 닫았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62.71포인트(2.26%)나 추락한 1만1372.60에 장을 마쳤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767.04)보다 16.26포인트(2.12%) 하락한 750.78에 거래를 종료했다. 지수는 전일보다 0.63% 내린 762.18에 출발해 장중 낙폭을 키우며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560억원, 1325억원을 매도했다. 반면 개인은 홀로 3059억원어치를 사들였다.

코스닥 시총 상위 10개 종목은 엇갈렸다. 셀트리온헬스케어(0.14%, HLB(3.33%), 카카오게임즈(0.82%), 씨젠(0.42%) 등이 상승했다. 반면 엘앤에프(-3.95%), 펄어비스(-3.20%), 셀트리온제약(-0.76%), 에코프로비엠(-3.23%), 알테오젠(-0.16%), 스튜디오드래곤(-4.68%) 등이 약세로 마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wahwa@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