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시장서 빼 예·적금으로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에도 시중에 풀린 돈이 한 달 새 35조원 넘게 급증하는 등 또 다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전달보다 증가폭이 축소됐지만 여전히 두 자릿 수 증가세를 지속했다.

1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10월중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10월 시중 통화량(계절조정·평잔)은 광의통화(M2) 기준 3550조6000억원으로 전월대비 38조원(1.1%) 증가했다.

전월(17조4000억원)에 비해서도 증가폭이 확대됐다. 1년 전과 비교해 보면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12.4% 증가해 전월(12.8%) 보다 증가폭이 축소됐다.

M2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 협의통화(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등 금융상품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통화 지표다.

시중 통화량은 지난해 4월 처음으로 3000조원을 돌파한 이후 가파른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매월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다.

10월 통화량은 가계는 증가한 반면 기업은 감소했다. 경제주체별로 보면 가계 및 비영리단체 통화량은 1719조5000억원으로 전월대비 18조3000억원 늘어 1.1% 증가했다.

정진우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 차장은 “대출 규제의 영향으로 은행에서 돈을 빌리기 어렵게 되자 주식시장에서 자금을 인출하면서 예탁금이 1조6000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재난지원금 지급효과와 함께 기준금리 인상으로 예적금 금리가 올라가면서 정기예적금을 중심으로 증가했다”고 말했다.

그는 “주택 매매 및 전세거래 등을 위한 대출자금의 영향도 여전히 있지만 과거보다는 줄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10월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은 2조4000억원 늘어 전달(4조7000억원) 보다 증가세가 축소됐다.

기업 부문의 통화량은 1042조5000억원으로 전월대비 8000억원(-0.1%) 줄면서 2019년 5월 감소 이후 2년 5개월 만에 감소 전환했다.

정 차장은 “대출은 전월에 이어 증가세를 지속했으나 부가가치세 납부, 해외기업 인수 등 해외투자 확대 등의 영향으로 소폭 감소했다”며 “기업은 대출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어 감소할 만한 요인이 없기 때문에 일시적인 영향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타 금융기관의 통화량은 581조6000억원으로 10조4000억원(1.8%) 늘면서 1개월 만에 증가 전환했다. 국고여유자금의 예치규모 확대 등에 따른 것이다.

상품별로는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이 11조4000억원 증가했고 정기예적금, 금융채 등도 각 11조2000억원, 3조6000억원 늘었다.

정 차장은 “수신금리 상승과 예대율 관리를 위한 자금유치로 정기예적금, 금융채가 늘었다”고 말했다.

단기자금 지표인 M1(협의통화)은 1345조원으로 전월대비 5조4000억원(1.2%) 늘어 M2 증가율과 비슷하게 증가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18% 늘어 지난 2월(26.0%) 이후 9개월 연속 증가폭이 축소되고 있다. M1은 언제든 현금화가 가능해 높은 수익률을 따라 움직이기 쉬운 자금을 의미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jwshin@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같이 보면 좋은 기사

한은 금통위 6명중 5명 “추가 금리 인상해야”(종합)

美전문가들 “연준, 내년 6월 금리인상…내후년 1.5%·2024년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