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국 뉴욕 증시에서 주요 지수가 15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미국의 제조업 지표가 상승하고 물가 상승세도 완화하는 모습을 보이자 투자자들은 주식을 적극적으로 매수했다. 유가가 상승한 점 역시 주식시장 투자 심리에 긍정적이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36.82포인트(0.68%) 상승한 3만4814.39에 마감했고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7.65포인트(0.85%) 오른 4480.70을 기록했다. 이날 S&P500지수는 약 3주간 가장 크게 올랐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123.77포인트(0.82%) 상승한 1만5161.53으로 집계됐다.

이날 시장은 에너지 관련 주식의 상승 속에서 강세를 보였다. 금융주와 기술주 역시 덩달아 오름세를 보였다.

시장은 경제 지표에 주목했다. 뉴욕 일대의 제조업 경기를 나타내는 엠파이어스테이트지수는 9월 16포인트 급등한 34.3을 기록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 17.2를 크게 웃도는 결과다.

별도로 미 노동부가 발표한 8월 수입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3% 하락해 10개월간 처음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연방준비제도(Fed)가 발표한 8월 산업생산은 0.4% 증가했다.

슈왑 금융 리서치 센터의 랜디 프레데릭 트레이딩·파생 부문 상무이사는 로이터통신에 “경제 활동이 다소 둔화하는 것이며 미국 뿐 만이 아니라 전 세계적인 상황”이라면서 “우리는 여전히 코로나19 델타 변이가 많은 부분에서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프레데릭 상무이사는 “우리는 한 주 반 전 사상 최고치에 있었고 사상 최고치일 때 시장은 어떤 종류의 나쁜 경제 지표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판단했다.

모간스탠리의 마이크 윌슨 수석 투자책임자(CIO)는 CNBC와 인터뷰에서 “주기 중반 이행기는 항상 지수의 조정으로 마감한다”면서 “그것은 이번 주일 수도 있고 한 달 후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윌슨 CIO는 “연중 50일 이동평균선이 지지되고 있고 이런 것은 회복 단계에서 전형적으로 볼 수 있는 부분이라 이렇게 올해를 마칠 것 같지는 않다”고 강조했다.

다만 내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시장이 크게 움직이기도 어렵다는 진단이 나온다. 연준은 21~22일 FOMC 정례회의에서 통화정책을 논의하는데 시장은 테이퍼링(자산매입축소) 발표 시기에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인베스코의 크리스티나 후퍼 수석 글로벌 시장 전략가는 마켓워치와 전화 통화에서 “시장이 FOMC 회의를 앞두고 오르기는 매우 어렵다”면서 “이런 것은 속이 뒤틀리는 시기이고 상당히 긍정적인 모멘텀을 얻기 힘들다”고 말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주가는 자사주매입 소식에 1.68% 상승했다.

카지노 관련 주식은 일제히 하락했다. 라스베이거스 샌드는 2.17% 내렸으며 윈리조트도 6.30% 급락했다. MGM리조트 역시 2.61% 하락했다.

전날 아이폰13 등 신제품을 공개한 애플은 이날 0.61% 상승했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6.73% 내린 18.14를 기록했다.

같이 읽으면 좋을 기사
[뉴욕 코인시황/마감] 주요 종목 상승폭 확대 … 비트코인 골든크로스 엇갈린 반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