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강주현 기자] 졸업 후 구직난을 겪고 있는 청년이 지난 5월 기준 166만명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4차산업혁명 분야는 심각한 구인난을 겪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1일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 등 국내 4차산업혁명 분야별 협회의 정책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주요국 4차산업혁명 인력경쟁력 현황 및 전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한국 4차산업혁명 인력부족률은 29.4%로 인력수요의 약 3분의 1이 부족하며 2025년에는 28.3%의 인력이 부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사 분야는 사물인터넷, 3D프린팅, 드론, 블록체인, 로봇,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인공지능, 컴퓨팅기술 등 9개 분야다.

2020년 한국, 미국, 독일, 일본, 중국 등 총 5개 주요국의 4차산업혁명 인력경쟁력을 비교하면 한국을 100이라 가정 시 ▲미국 123.3 ▲독일 114.4 ▲일본 107.8 ▲중국 106.7 순으로 나타나 한국이 가장 뒤처졌다. 미국은 신재생에너지를 제외한 8개 분야에서 인력경쟁력 1위(공동 1위 포함)를 차지했다. 독일은 3D프린팅,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컴퓨팅기술 등 4개 분야에서, 중국은 블록체인, 인공지능, 컴퓨팅기술 등 3개 분야에서 1위를 기록했다. 일본이 인력경쟁력 1위를 차지한 분야는 블록체인과 첨단소재 분야로 2개다.

반면, 한국은 한 분야에서도 1위에 오르지 못했다. 또한 9개 기술분야 중 인공지능 등 6개 분야에서 최하위를 기록하였다. 다만 로봇,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3개 분야에서는 중국을 앞섰다.

5년 후인 2025년에도 한국의 4차산업혁명 인력경쟁력은 주요국 중 가장 낮은 수준일 것으로 전망됐다. 2025년 인력경쟁력은 ▲미국 121.1 ▲중국 114.4 ▲독일 106.7 ▲일본 104.4 순으로 예상됐다. 가장 많은 분야에서 인력경쟁력 1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는 미국으로, 공동 1위를 포함해 컴퓨팅 기술을 제외한 8개 분야에서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드론, 인공지능, 컴퓨팅 기술 등 3개 분야에서, 독일은 3D프린팅과 신재생에너지 등에서 1위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일본이 1위를 기록할 분야는 신재생에너지와 첨단소재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로봇,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3개 분야에서도 중국에 따라잡혀 2025년 모든 4차산업혁명 기술분야에서 비교대상 국가들 중 최하위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현재 한국의 4차산업혁명 분야 인력부족률은 29.4%이다.  인력이 부족한 주요 기술분야는 ▲드론(55%) ▲3D프린팅(35%) ▲로봇(35%) 등이다. 5년 후에도 인력부족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경연은 2025년 4차산업혁명 인력부족률은 28.3%로 현재와 유사한 수준일 것이며 드론, 로봇 등의 인력부족률은 현재보다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응답 협회들이 지적한 산업계의 인력 확보 애로사항은 ▲실무에 적합한 기술인력 부족(40.7%) ▲석박사 등 전문 인력 부족(33.3%) ▲예산지원, 규제완화 등 정부 지원 부족(11.1%) ▲근로시간, 호봉제 등 경직된 근무환경 및 조직문화(7.4%) ▲경쟁국 수준 임금 지급 어려움(7.4%) 등이었다.

응답자들은 국내 4차산업혁명 인력경쟁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전공 개설 확대, 능력 있는 교수진 유치 등 교육인프라 확충(29.6%) 기술 스타트업 창업 및 기업 인력육성에 대한 제도적 지원 확대(22.2%) ▲산관학 협력 활성화(14.8%) ▲성과보상제, 유연근무제 등 인력 유치를 위한 유연한 근로환경 및 조직문화 조성(14.8%) ▲기술혁신 및 신산업 창출을 저해하는 규제 완화(14.8%) ▲해외 인력 유치를 위한 법·제도 개선 및 지원(3.7%) 등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