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獨·佛 부채 많아”…GDP 대비 글로벌 부채 비율 330%
#인도·아르헨티나·중국·러시아·남아공 부채도 크게 증가
#”지정학적 균열로 인한 구조적 시장 리스크 발생 우려”

[워싱턴=연합뉴스 김경희 특파원] 지난해 글로벌 부채가 313조 달러로 늘어나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21일(현지시간) 국제금융협회(IIF)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부채는 313조 달러로 한 해 전과 비교해 15조 달러 상승했다.

IIF는 “전체 부채의 55% 가량이 선진국이 차지하는 비중”이라며 “특히 미국과 독일, 프랑스가 이 가운데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고 밝혔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글로벌 부채 비율은 330%로 집계됐다.

선진국 이외에도 인도와 아르헨티나, 중국, 러시아, 말레이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에서 부채 비율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가 임박한 상황에서, 미국 정책 금리와 달러의 불안정성이 시장의 변동성을 더욱 가중하고 있다”며 “이로 인해 대외 차입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국가들의 자금 조달 여건이 한층 어려워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IIF는 또 세계 경제가 차입 비용의 변동성에 있어 탄력성을 입증함에 따라 투자 심리가 반등하고 있다고도 분석했다.특히 신흥 시장을 중심으로 올해 차입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며, 국채 발행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다.

보고서는 “이 같은 낙관적인 분위기가 이어진다면 유럽 정부 및 선진국의 비금융 기업들이 주도한 부채 감소 상황을 반전시킬 수 있다”고 지목했다. 보고서는 또한 잠재적인 인플레이션 압박 상승 가능성을 우려하며, 지정학적 균열로 인해 구조적인 시장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 역시 언급했다.

kyunghee@yna.co.kr

[블록미디어] 비트코인 커뮤니티는 국가 부채증가와 인플레이션의 원인을 방만한 통화팽창에 따른 불가피 한 현상으로 보고 있다. 독점적인 화폐 발행권을 가진 정부와 중앙은행이 국채 발행과 통화팽창을 통해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고 이는 물가상승이란 간접세를 통해 국민들에게 전가된다는 것이다. 또 경기활성화를 위한 금리인하와 통화팽창이 부채를 늘리고 자산가격 상승을 통해 부익부 빈익빈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2100만 개로 발행총량이 제한돼 있고 반감기를 통해 공급량이 점차 줄어드는 투명한 통화정책을 가진 비트코인이 최고의 가치 저장 수단으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같이 보면 좋은 기사

“美 금리인하 빨라야 6월…연준, 인플레 오판 않으려 신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