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생성형AI 서비스를 내놓더라도 다 잡아먹힐 것 같네요.” 한 인공지능분야 스타트업 임원의 얘기다. 최근 오픈AI가 공개한 영상 생성형AI 서비스인 ‘소라(Sora)’가 나오면서 국내 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 전체가 흥분했다. 짧은 프롬프트(챗봇형 AI 서비스에 입력하는 지시 문구)를 통해 1분 이내의 고화질의 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길이 열렸기 때문이다.그러나 생성형AI 서비스를 내놓는 스타트업들은 일순간 절망에 빠졌다는 게 업계의 얘기다. 자칫 투자 시장까지 얼어붙는 것은 아닐 지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실제 Sora가 공개되기 전에 전세계 AI 기업은 물론, 스타트업들은 생성형AI를 활용한 영상 생성 서비스를 출시해왔다. 해외의 A서비스의 경우, 영상에 나오는 주인공의 동작이 어색하거나 영상의 화질이 양호하지 않았지만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예고했다.

한 AI 분야 스타트업 대표는 “오픈AI가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는 GPT4.0이나 후속 버전의 거대언어모델(LLM)을 활용할 경우, 서비스의 질이 향상될 것”이라고 이후 투자에 대해서도 상당히 기대를 높이고 있었다. 다만 이번 Sora 공개로 생성형 AI 스타트업이나 기업들의 기대는 물거품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사실상 거대언어모델 엔진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들의 사업 방향성에 맞춰 생성형AI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만들게 되면 곧바로 스타트업의 경쟁력은 사라질 수 있다는 얘기다.

실제 벤처스타트업 업계에서도 이같은 상황을 엄중하게 바라보는 분위기다. 당장 생성형AI 분야의 창업 아이템 기획부터가 제동이 걸린 셈이다. 유니콘 기업은 커녕, 거대언어모델을 가진 글로벌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방향에 따라 창업시도 조차 어렵게 된 상황이다. 벤처창업분야에서는 AI 분야에 대한 투자 역시도 이제는 거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우려하기도 한다.

20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벤처투자규모는 10조9133억원으로 나타났다. 2021년 15조9371억원, 2022년 12조4706억원 등으로 최근 벤처투자규모는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모습이다.중기부 관계자는 “전체적으로 줄었으나 AI 반도체·로봇 등 딥테크 분야는 부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딥테크 분야에는 상당부분 AI 기술이 포함된다. 그만큼 지난해 AI 분야에 대한 투자가 대세였다는 점을 증명하고 있다는 얘기다. 이와 달리 올해부터는 AI 분야에 대한 투자 자체가 예년같지는 않을 것이라는 얘기도 들린다. 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이제는 AI를 한다고 해서 경쟁력이 있는 시대라고 보기는 어렵다”며 “아무래도 생성형 AI 분야에서도 실제 투자를 받는 시점에서는 옥석이 가려질 것”이라고 전했다.

생성AI스타트업협회 관계자는 “과거 IT 혁명 당시 빅테크 기업에 대한 독점 금지법 위반 판결처럼 LLM 보유 기업들이 경쟁적 자산 규모에서 억압적인 위치를 악용해 시장을 독점하고 소비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일이 있어서는 안될 것”이라며 “향후 시장 상황과 기술, 서비스 변화를 면밀히 지켜보는 중”이라고 말했다. 협회 관계자는 이어 “LLM 보유 기업들이 혹시라도 LLM을 무기로 내세워 AI 서비스 시장을 독점하거나 경쟁 기업을 도태시키려는 시도를 하는지 그 여부에 살피며 법적·제도적 대응과 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같이 보면 좋은 기사

오픈AI 동영상 제작 ‘소라’ 발표 후 월드코인(WLD) 등 AI 알트코인 급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