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의 전략가들은 5일 미달러화가 당분간은 오랫동안 유지되어온 지배력을 유지하겠지만 세계 경제에 탈달러화의 징후가 전개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5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JP모건의 전략가(Meera Chandan. Octavia Popescu)들은 전반적인 달러 사용이 역사적인 범위 내에 있고 그린백(미달러)이 가장 상위에 남아 있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분열된 상황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급격한 금리 인상과 러시아를 세계 은행 시스템에서 축출한 제재로 인해 브릭스 국가들(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달러의 패권에 도전하기 위한 새로운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달러화가 국제외환(FX)거래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8%로 기록적인 최고치를 약간 밑돌고 있으며 무역 송장 처리에 사용되는 비중도 지난 수십 년 동안 크게 변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반면 전 세계 중앙은행이 보유한 외환보유액에서 달러가 차지하는 비중은 58%로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금은 5년 전의 11%에서 15%로 상승했다.

JP모건 분석가들은 “달러화 해제의 일부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며 달러가 큰 비중을 유지하더라도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위안화는 규모가 기록적으로 성장했지만 비중은 크지 않다. 외환거래(FX) 거래량의 7%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의 자본통제를 고려할 때 위안화의 국제화 진전은 제한적으로 크게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의 국제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로 미국의 9%를 앞서고 있다. 그러나 스위프트(SWIFT∙국제은행간통신협회) 지불에서 위안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2.3%다. 달러는 43%, 유로는 32%다.

로이터는 미국이 러시아 외환보유액의 상당 부분을 동결한 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 이후 브릭스 국가들과 다른 주요 상품 수출국들이 달러의 영향력을 줄이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중국이 중국산 원유 판매를 위안화로 해결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 브라질과 중국은 양국 간 일부 무역에 대한 위안화 청산 협정 단계적 이행을 발표했다. 중국과 러시아도 현재 상당 부분 위안화 거래를 하고 있다.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전문 기자가 요약 정리한 핫뉴스, 블록미디어 카카오 뷰(클릭)

같이 보면 좋은 기사

미 SEC, 법원에 바이낸스 자산동결 요청… “재산 관리인도 선임해달라”

러시아 로스 뱅크 국경간 결제 위한 암호화폐 결제 솔루션 출시–첫 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