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정성원 기자 =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12일 플레이 투 언(P2E) 합법화 입법을 위한 로비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당초 국회를 대상으로 한 로비가 없었다는 게임회사의 입장을 정면 반박한 것이다. 그러면서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대통령 선거 당시 P2E 정책이 윤석열 후보 최종 공약으로 들어갈 뻔했지만, 선대위 게임특별위원장이었던 제가 뜯어말려서 결국 제외됐던 적이 있다”고 밝혔다.

하 의원은 “선거 기간 회사가 직접 나서서 입법 로비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큰 오해를 받기 때문”이라며 “보통 협회나 학회, 시민단체, 변호사, 기자 등을 동원해 우회적으로 접근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associate_pic3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 (공동취재사진) 2022.07.06. photo@newsis.com

그는 “당시 게임 공약을 검토할 때도 출처 모를 수많은 P2E 합법화 제안을 많이 받았다. ‘사행성 게임에서 P2E만 제외해달라’는 내용이었다. 코인과 카지노를 연동하겠다는 계획도 있었다”면서도 “미래산업을 가장한 도박 합법화이기 때문에 전부 거절했다”고 회고했다.

이어 “그럼에도 메타버스 안에 P2E를 집어넣겠다는 공약이 다른 채널을 통해 발표됐다”며 “당시 내부에서 제가 끝까지 뜯어말려 결국 철회시켰다”고 덧붙였다.

하 의원은 “이후로도 제가 주최한 토론회에 위믹스 발행업체 위메이드가 나와서 발표한다고 하길래 토론자를 바꾸라고 했던 적도 있었다. 업계 간담회를 계획하려다 위메이드가 나온다길래 취소했던 적도 있었다”며 “이게 입법 로비가 아니면 뭔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김남국 의원처럼 코인을 대량 보유하고 정책을 주도했다는 것은 절대 있을 수 없다”며 “국회의원이 내 코인 폭등시키려고 코인 회사 종 노릇을 하고 있었던 셈”이라고 날을 세웠다.

나아가 “국회의원 전부 코인 전수조사해서 국민께 소상히 밝혀야 한다. 그래야만 국회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고 촉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ungsw@newsis.com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전문 기자가 요약 정리한 핫뉴스, 블록미디어 카카오 뷰(클릭)

같이 보면 좋은 기사

민주당 윈외 청년 정치인들 “김남국 코인 의혹 사실이면 의원직 사퇴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