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뉴스핌]김나래 특파원=미국 뉴욕증시는 5월의 첫 거래일인 1일(현지시간) 일제히 소폭 하락세로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6.46포인트(0.14%) 하락한 3만4051.70으로 마감했다.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61포인트(0.04%) 내린 4167.87,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13.99포인트(0.11%) 빠진 1만2212.60으로 집계됐다.

뉴욕증시가 퍼스트리퍼블릭은행(FRC)의 파산에도 불구하고 JP모건체이스가 인수했다는 소식에 급락 없이 약보합세로 마감했다. 뉴욕증시는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의 폐쇄와 인수 여파와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정책을 관망하며 혼조세로 출발했다.

이날 캘리포니아 금융보호혁신부(DFPI)는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을 폐쇄하고, 연방예금보험공사(FDIC)를 파산관재인으로 지정했으며 JP모간 체이스 은행의 입찰 제안을 수락했다. 퍼스트 리퍼블릭은 지난 3월 무너진 실리콘밸리은행(SVB)과 뉴욕 시그니처 은행에 이어 세 번째로 파산한 은행이 됐다.

미국 재무부는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의 부실 우려가 가장 적은 부담을 지우는 방식으로 해결됐으며 모든 예금자를 보호할 수 있는 방식으로 해결돼 고무적”이라고 언급하며 시장과 예금자들을 안심시켰다.

이에 전문가들도 이번 사태가 다른 은행의 파산으로 이어지는 2008년 금융위기와 현재는 다른 상황이라며 은행업계에 미칠 파장은 제한적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최고경영자(CEO)도 “또 다른 더 작은 위기의 은행 건이 있을수도 있지만, 이번 조치로 거의 모든 것이 다 해결됐으며 위기의 부문은 끝이 났다”라고 시장을 안심시켰다.

이날 발표된 미국의 제조업 지표는 이전보다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여전히 위축됐다.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4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7.1로 전달의 46.3에서 상승했다. 다만 이는 6개월 연속 50을 밑돌아 제조업 경기가 위축됐다는 우려가 나왔다.

노스웨스턴 뮤추얼 웰스 메니지먼트의 수석 포트폴리오 매니저인 매튜 스터키는 “연준이 5월에 금리를 25bp 인상할 것이라는 믿음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시장은 오는 3일 나오는 FOMC 정례회의 결과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 금리 선물시장에서는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고 다음번 회의에서는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 달러화는 상승했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달러화지수)는 전장보다 0.47% 올랐으며 유로는 달러 대비 0.42% 내린 1.0973을 기록했다.

유가는 중국의 부진한 경제 지표, 미국의 은행 파산 소식과 중앙은행의 추가 금리 인상 우려에 내림세로 마감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6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1.12달러(1.46%) 하락한 배럴당 75.6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안전 자산인 금 가격은 하락 마감했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6월 인도분 금은 전 거래일보다 온스당 6.90달러(0.4%) 하락한 1992.2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ticktock0326@newspim.com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전문 기자가 요약 정리한 핫뉴스, 블록미디어 카카오 뷰(클릭)

같이 보면 좋은 기사

[뉴욕 코인시황/마감] 비트코인 $28K 아래로 … 암호화폐 증시 동반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