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최동녘 기자] 이번 주 미국에서는 시장의 인플레이션 우려 및 경제 건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수치들이 발표됩니다.

14일에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됩니다. 예상치는 전년대비 6.2% 상승인데요. 직전 발표치 6.5% 대비 상승폭이 줄었습니다.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도 5.4% 상승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하루 전 발표되는 뉴욕 연준 인플레이션 예상치는 1년 전망과 5년 전망으로 발표됩니다. 지난 발표의 1년 인플레 예상치는 5.0%, 5년 인플레 예상치는 2.4%입니다.

15일 발표하는 소매판매는 특정 기간 동안 소매점에서 발생한 상품 판매의 총량입니다. 최종 구매 소비자들의 제품 수요를 나타내, 경제 팽창 혹은 수축을 측정하는데 용이합니다.

같은 날의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지수는 뉴욕주 소재 약 200개 제조업체 대상 설문조사로 산출합니다.

뉴욕주의 일반적인 기업 경기 수준을 나타내며, 수치가 0보다 클 경우 경기가 긍정 전망, 0보다 작을 경우 부정 전망을 의미합니다. 이번 발표 전망은 -19.2, 제조업체들의 부정적 경기 전망이 우세합니다.

설비 가동률은 이용 가능한 생산 시설 중 가동되고 있는 설비의 비중을 의미합니다. 최대 생산량과 실제 생산량 사이의 여유를 확인할 수 있으며, 높으면 높아질수록 인플레이션 압력이 강하게 나타날 확률이 높습니다.

실업 수당 청구 건도 주목할 지표입니다. 미국 내 고용 건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이번 신규 실업수당 신청은 전주 대비 소폭 증가한 20만 건이 예상됩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제조업자가 판매한 상품 가격의 변동을 의미합니다. 소비자 인플레이션의 선행지표로 인플레이션 추이를 분석하는데 용이합니다. 이번 발표 예상치는 0.4%로, 물가지수 상승이 예상됩니다.

17일 발표되는 경기선행지수는 주요 경제통계들을 조합해 만들어진 지수로, 경제 6~9개월 후의 경기 흐름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경기 선행지수가 하락하면 경기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번 예상치는 -0.4%로, 전번 발표의 -1.0% 대비 상승이 예상됩니다. 수입물가지수는 소폭 감소 전망입니다.

# 미국 경제 지표(미국 현지시간)
02/13(월)
★ 뉴욕 연준 인플레이션 예상치
(NY Fed inflation expectations)
1년 예상 이전치: 5.0% / 5년 예상 이전치: 2.4%

02/14(화)
★ 소비자 물가 지수 ▼

(Consumer price index)
전년비 예상치: 6.2%, 이전치: 6.5%
(근원) 전년비 예상치: 5.4%, 이전치: 5.7%

NFIB 소기업 낙관지수 ▲
(NFIB small-business index)
예상치: 90.0, 이전치 89.8

02/15(수)
소매판매 ▲
(Retail sales)
예상치: 1.7%, 이전치: -1.1%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 ▼
(Empire State Manufacturing Index)
예상치: -19.2, 이전치: 32.9

산업생산지수 ▲
(Industrial production index)
예상치: 0.4%, 이전치: -0.7%

설비 가동률 ▲
(Capacity utilization rate)
예상치: 79.0%, 이전치: 78.8%

전미주택건설협회 주택시장지수 ▲
(NAHB home builders’ index)
예상치: 36, 이전치: 35

상품 재고 ▼
(Business inventories)
예상치: 0.3%, 이전치: 0.4%

02/16(목)
신규 실업수당 신청 ▲
(Initial jobless claims)
예상치: 20만, 이전치: 19만 6000

지속 실업 수당 신청
(Continuing jobless claims)
이전치: 169만

생산자물가지수 ▲
(Producer price index)
예상치: 0.4%, 이전치: -0.5%

건축 허가 건수 ▲
(Building permits)
예상치: 135만, 이전치: 134만

주택 착공 건수 ▼
(Housing starts)
예상치: 135만, 이전치: 138만

필라델피아 FED 생산자 지수 ▲
(Philadelphia Fed manufacturing index)
예상치: -7.4, 이전치: -8.9

02/17(금)
경기선행지수 ▲
(Leading economic indicators)
예상치: -0.4%, 이전치: -1.0%

수입물가지수 ▼
(Import price index)
예상치: -0.1%, 이전치: 0.4%

# 코인일정(UTC)

[2월] 2/15일 – 크리자 거래소(KRX) 바이낸스 유동 시작
2/24일 – 이더 덴버 2023($ETH)
2/27일~2/28일 – 인터롭 서밋(Interop Summit) 2023
2/28일 – 파일코인 FEVM 릴리즈 ($FIL)

[3월] 3/19 ~3/20일 – 크립토 엑스포 유럽
3/28일~3/31일 – 디센트럴랜드 메타버스 패션 위크 ($MANA)
~3/31일 – 캐스퍼 네트워크 개발자 포털($CSPR)
~3/31일 – 이오스 EVM V2 테스트넷 런치 + 스마트 컨트랙트 라이브러리+ 히파다오(HyphaDAO) 배치+ 퍼포먼스 하네스 2 + 포멜로 시즌5 등($EOS)
~3/31일 – 코스모스 람다 업그레이드($ATOM)
~3/31일 – 알고랜드 온체인 거버넌스($EGLD)
~3/31일 – 미나 프로토콜 Zk오라클 2단계 ($MINA)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전문 기자가 요약 정리한 핫뉴스, 블록미디어 카카오 뷰(클릭)

같이 보면 좋은 기사

[주간증시전망]미국 소비자물가 주목…”시장 해석이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