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부의장 “인플레 확신까지 추가 금리 인상 필요”
#베이지북 “美 경제 성장 둔화 가능…인플레 여전”
#국제유가, 5% 폭락…우크라 전쟁 이전 수준 복귀

[실리콘밸리=뉴스핌]김나래 특파원=미국 뉴욕증시는 7일(현지시간) 상승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35.98포인트(1.40%) 상승한 3만1581.28에 마감했다.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71.68포인트(1.83%) 오른 3979.87,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246.99포인트(2.14%) 급등한 1만1791.90으로 거래를 마쳤다.

시장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정기 발간하는 경제동향 종합 보고서인 베이지북의 암울한 전망과 연준의 공격적 긴축 우려에도 반발 매수세로 상승했다. 특히 미국 연준의 고위인사가 경기 침체 위험을 우려하는 발언을 내놓자 국채금리 하락 폭이 장중 더 커진 것도 주식 시장 상승세를 지지했다.

레이얼 브레이너드 연준 부의장은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로 내려가고 있다는 확신을 주기 위해 연준이 정책금리를 추가로 인상하고 한동안 높은 수준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브레이너드 연준 부의장은 뉴욕의 한 콘퍼런스에서 “인플레이션을 낮출때까지 통화 긴축을 이어갈 것”이라면서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로 내려가고 있다는 확신이 들때까지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베이지북은 향후 미국의 경제 성장 전망 더 둔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연준은 베이지북을 통해 미국 경제가 8월 말까지 소폭 성장했지만 금리 인상과 노동력과 공급 부족 문제로 내년 경제 전망은 일반적으로 약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미 금융시장은 연준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도 금리를 0.75%포인트 올린다면 이는 올해 들어 세 번째 0.75%포인트 인상이다. CME그룹 페드워치에 따르면 미 금리선물 시장에 반영된 9월 75bp 금리 인상 가능성은 82%로 전날의 73%에서 크게 올랐지만 50bp 인상 가능성은 18%로 전날의 27%에서 낮아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역시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크레딧스위스의 금리 거래 전략 책임자인 조나단 콘은 “우리는 글로벌 가격 조정을 보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해 예상되는 긴축정책의 가속화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달러는 하락헸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달러화지수)는 전장보다 0.48% 내렸으며 유로는 달러 대비 0.93% 상승한 0.9997 달러를 기록했다.

국제유가는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속에 급락했다.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러시아에서 유럽으로 이어지는 가스관 ‘노르트스트림-1’에서 천연가스 공급이 중단되면 유로존 경기침체 가능성을 경고하고 나섰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0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보다 배럴당 5.7%(4.94달러) 떨어진 81.94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안전 자산인 금 가격은 일주일 만에 최고치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가장 많이 거래된 선물인 12월물 금 선물 가격 온스당 14.90달러(0.7%) 오른 1727.80달러에 마감했다.

ticktock0326@newspim.com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전문 기자가 요약 정리한 핫뉴스, 블록미디어 카카오 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