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국 뉴욕 증시에서 주요 지수가 6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기대를 크게 웃돈 7월 고용지표는 ‘골디락스'(Goldilocks)라는 평가를 받으며 경기 민감주를 띄웠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44.26포인트(0.41%) 상승한 3만5208.51에 마쳤고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7.42포인트(0.17%) 오른 4436.52를 기록했다. 이날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각각 종가기준 최고치를 경신했다.

다만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59.36포인트(0.40%) 내린 1만4835.76으로 집계됐다.

주간 기준으로 다우지수는 0.78% 상승했으며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0.94%, 1.11% 올랐다.

투자자들은 7월 고용지표에 환호했다. 미 노동부는 지난달 비농업 부문에서 94만3000건의 신규 고용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실업률은 6월 5.9%에서 7월 5.4%로 낮아졌다. 5~6월 수치도 상당폭 상향 조정됐다.

이제 투자자들의 관심은 이달 말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리는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례 심포지엄으로 옮겨갔다.

프린서펄 글로벌 인베스터스의 시마 샤 수석 전략가는 로이터통신에 “이것은 시장이 원하던 종류의 강한 보고서”라면서 “고용시장 회복이 지속하고 있지만, 연준의 테이퍼링(자산매입축소) 시점을 앞당길 정도로 강하지는 않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샤 전략가는 “이것이 골디락스”라면서 “강한 것의 조합이면서도 너무 강하지는 않다”고 덧붙였다.

슈왑 파이낸셜 리서치 센터의 캐시 존스 수석 이자율 전략가는 블룸버그통신에 “여기서 좋지 않다고 볼 것이 많지 않다”면서 “이것은 테이퍼링 논의를 앞당길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존스 전략가는 “연준은 이처럼 좋은 보고서를 또 한 번 보고 싶을 수 있지만, 테이퍼링을 늦추기보다 조만간 시행하는 것에 그들을 더 근접시킬 것”이라고 판단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캐시 보스트잔식 수석 미국 금융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보고서가 연준이 확인하고 싶은 지표 중 첫 번재였다면서 추가 진전을 보기 원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주식과 관련해 월가는 상반된 전망을 내놓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전날 월가에서 가장 높은 S&P500지수 연말 목표치를 제시했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최근 주식시장의 취약성을 우려한다. 성장과 기업 실적이 고점을 찍었다는 우려 역시 여전하다.

주식 전문가들은 뉴욕 증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델타 변이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단기적으로 약세를 보이더라도 연말로 가면서 반등할 것으로 본다.

전날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월가에서 가장 높은 S&P500지수 연말 전망치를 제시했다.

로열 런던 에셋 맨지먼트의 트레버 그리섬 펀드 매니저는 WSJ에 “시장은 매우 천천히 위로 향하고 있다”면서 “이것은 주식시장이 최소한 일시적으로도 델타 변이와 관련한 악재로 하락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그리섬 매니저는 “그러나 이것은 다시 반등할 하락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메리칸 인터내셔널 그룹의 주가는 2분기 실적이 기대를 웃돌아 4.79% 상승했다.

그릴 제조사 웨버의 주가는 7.93% 올랐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5.73% 내린 16.29을 가리켰다.

mj72284@newspim.com

같이 보면 좋은 기사

이더리움 옵션 거래 급증 … 행사 가격 5만달러 콜옵션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