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문예윤 기자] 디지털자산(가상자산) 산업을 활발히 이끌어온 싱가포르와 홍콩이 최근 상반된 행보를 보이고 있다.
5일(현지시각) 업계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디지털자산 거래소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며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반면 홍콩은 디지털자산 전략 ‘LEAP’를 발표하며 디지털자산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지난달 30일 디지털자산 기업에 라이선스 취득을 의무화했다. 이번 조치는 △자금세탁방지 △준법 담당자 지정 △사이버 보안 점검 등을 포함한다. 이를 위반할 경우 최대 18만5000달러(약 2억4800만원)의 벌금 또는 징역형이 부과될 수 있다. 특히 싱가포르 당국은 해외 고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도 반드시 라이선스를 보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글로벌 거래소인 비트겟(Bitget)과 바이빗(Bybit)은 본사를 두바이나 홍콩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시기 홍콩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에 대한 면허제 도입과 실물자산 토큰화 정책 등을 포함한 새로운 디지털자산 전략을 공개했다. 이와 함께 중국 본토 증권사의 디지털자산 거래 서비스 제공도 승인했다. 조슈아 추 홍콩 웹3 협회 공동 의장은 “이번 조치는 디지털자산 생태계에서 홍콩의 역할을 재정의하려는 전략”이라며 “규제를 준수하면서도 유동성과 글로벌 연결성을 갖춘 기반으로 양질의 프로젝트를 끌어들일 것”이라고 말했다.
홍콩의 이 같은 정책은 싱가포르와는 대조적으로 디지털자산 허브로 자리 잡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행보로 해석된다.
다만 싱가포르도 일부 주요 플랫폼의 신규 진출을 허용하고 있다. 로빈후드 산하의 디지털자산 거래소 비트스탬프는 관련 규정이 발표된 이후인 지난 3일 싱가포르에서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전문가들은 “홍콩과 싱가포르는 각기 다른 규제와 정책을 통해 디지털자산 시장에서의 역할을 확장하고 있다”며 “두 도시 모두 디지털자산 허브로서 글로벌 생태계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고 평가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