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최창환 기자]중국 빅테크 JD닷컴(JD.com)과 앤트그룹(Ant Group)이 중국 중앙은행에 위안화 연동 스테이블코인의 홍콩 발행을 허용해 달라고 요청했다.
3일 코인피디아에 따르면 이들은 이미 홍콩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을 준비 중이지만, 미국 달러에 고정된 홍콩달러 기반 자산으로는 위안화 국제화를 이끌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두 기업은 인민은행(PBOC)과의 비공개 논의에서 “달러 스테이블코인 확산 속도에 대응하려면 위안화 연동 자산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전 세계 스테이블코인의 99% 이상이 미국 달러 기반이다. 미국 달러 기반 자산인 테더(USDT)는 국제 무역과 디지털 결제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수출 기업들도 점차 USDT를 활용하고 있다. 홍콩 장외거래소 크립토HK는 “중국 고객의 USDT 거래량이 2021년 이후 5배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중국은 위안화 국제화를 추진해 왔지만 △엄격한 자본 통제 △암호화폐 전면 금지 △정책 불확실성 등으로 디지털 자산 영역에서 뒤처진 상황이다. SWIFT 자료에 따르면 5월 기준 위안화는 글로벌 결제에서 2.89% 점유율을 기록했지만, 달러는 여전히 48%를 넘는다.
홍콩은 오는 8월부터 새 암호화폐 규제를 시행하며, 중국 디지털 금융 전략의 전진 기지 역할을 할 가능성이 커졌다. 앤트그룹은 홍콩과 싱가포르에서 관련 사업 허가 신청을 준비 중이며, JD닷컴은 글로벌 주요 시장 진출을 계획 중이다.
한국도 원화스테이블 코인을 둘러싼 논란이 진행중이다. 정부 여당은 민간 주도의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추진중이지만 한국은행이 중앙은행과 은행중심 도입을 주장하며 반대하고 있다.
국정기획위원회 관계자들과 정부 관계자들은 블록미디어에 “한국은행, 금융당국, 그리고 민간 업계 등으로부터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우리나라도 원화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논의에 정통한 국정기획위원회 한 관계자는 “(디지털 자산 정책 중)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주된 의제인 것은 맞다”고 말했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최근 한국은행과 정부 관계자들을 불러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대한 의견을 들었다. 해당 회의에 참석했던 관계자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여전히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해당 회의에는 한은 외에도 복수의 정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회의에 참석했던 한 관계자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경우 한국은행이 금융당국과 대등한 자격으로 결정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논의 과정에서 한은의 개입이 꼭 필요한 것인지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 것으로 알려졌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