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케냐 슬럼가, 비트코인 생명줄로 등장
케냐 최대 슬럼가 키베라에서 약 200명이 일상적으로 비트코인을 사용하고 있다. 비인크립토(11일) 보도에 따르면, 이는 핀테크 스타트업 아프리빗 아프리카가 3년간 지역 활동을 통해 나이로비 최빈층 노동자들에게 웹3 기술을 도입한 덕분이다.
키베라 주민들은 비트코인을 통해 금융 접근성을 확보한 사례다. 이 과정에서 △낮은 거래 수수료 △현금 소지의 위험 감소 △비트코인 투자 수익 등 다양한 이점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많은 주민은 비트코인의 성장 가능성에 주된 관심을 두고 있다. 이로 인해 암호화폐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쉽지 않은 일이다.
아프리빗 아프리카는 2022년부터 활동하며 지역 쓰레기 수거 노동자들에게 비트코인으로 급여를 지급하도록 지원했다. 이후 지역 채소 가게와 소상공인들 또한 비트코인 사용에 동참했다. 하지만, 비트코인 사용에는 현실적인 제약이 존재한다. 키베라 인구 중 비트코인 사용자 수는 단 200명이며, 이는 전체의 일부에 불과하다. 웹3 접근에는 전자 기기, 전력, 인터넷 연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일부 주민은 비트코인을 투기 자산으로 여겨 자산의 70~80%를 투자하는 상황이다. 이는 비트코인 가격 변동에 따른 위험성을 내포한다. 지속 가능한 암호화폐 커뮤니티를 형성하려면 교육, 투자, 시간이 필요하다. 아프리빗의 지원이 중단되면 커뮤니티의 지속 가능성도 낮아질 수 있다. 그럼에도 전통 금융 시스템에서 소외된 계층에게 사실상의 금융 접근성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
* 이 기사는 2025년 06월 11일, 06:17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