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유니온 랩스(Union Labs)가 5월 15일 트위터 스페이스에서 첫 번째 ‘타운홀 캐스트(Town Hall Cast)’를 열었다. 이번 방송에는 △뱅크시(Banksy) △케니(만타 네트워크 공동창업자) △카렐(유니온 창업자)이 참여해 블록체인 개발과 사용자 접근성, 디파이(DeFi) 생태계 변화를 논의했다.
뱅크시는 스마트 계약 계정을 기반으로 다양한 체인에서 단일 서명으로 작동하는 사용성 중심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를 통해 △이메일 △이더리움 지갑 △솔라나 지갑 △JWT 등을 인증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케니는 만타 네트워크의 초기 프라이버시 기술부터 L2(레이어2) 전환 과정을 소개했다. 그는 현재 L2 시장이 과잉 공급 상태로, 단순 인프라 제공에서 벗어나 실제 수익을 창출하는 앱 중심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참가자들은 L1과 L2의 기술적 차이보다 초기 커뮤니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유니온의 카렐은 복잡성 때문에 많은 팀이 다시 L1으로 돌아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뱅크시는 블록 스페이스의 과도한 성능 최적화보다 사용자 확보가 중요하다고 했다.
현재로선 온체인에서 실효성 있는 유일한 사례가 디파이뿐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뱅크시는 ZK 기술로 현실과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시도 중이라고 밝혔다.
스테이블코인 경쟁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카렐은 유니온의 사업 확장 가능성을 언급했으며, 케니는 향후 소수의 스테이블코인만이 생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방송은 유니온의 첫 타운홀 캐스트로, 참가자들은 기술적 성과와 시장 진단을 공유하며 협업 가능성을 확인했다. 유니온은 차기 방송도 예고했다.
* 이 기사는 2025년 05월 17일, 07:47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