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12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소형 기업들이 암호화폐를 자산 전략으로 채택하며 주가 상승을 유도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장기적 신뢰보다는 홍보용에 가깝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교육 기술 기업 클래스오버 홀딩스(Classover Holdings, 코드 KIDZ)는 지난 5월 초 4억 달러 상당의 주식을 팔아 솔라나((Sol))를 매수하겠다고 발표했다. 그 결과, 시가총액이 5000만 달러 미만이었던 회사의 주가는 두 거래일 만에 1.15달러에서 7달러 이상으로 치솟았다가 현재 3.69달러로 조정됐다. 이 같은 움직임은 클래서오버 사례에 국한되지 않고 유사한 소형 및 초소형 기업들 사이에서 반복되고 있다.
소규모 기업들이 암호화폐를 핵심 사업이나 결제 수단이 아니라 주목받기 위한 자산 항목으로 채택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들 기업은 △비트코인(Bitcoin) △솔라나(Solana) 등 디지털 자산 보유 계획 발표 후 주가 상승이라는 패턴을 자주 보인다. 오늘만 해도 GD컬처 그룹(GD Culture Group, GDC)과 앰버 인터내셔널 홀딩스(Amber International Holdings, AMBR)가 각각 암호화폐 자산 전략을 발표하며 주가에 영향을 미쳤다.
# 단기 효과 노리는 암호화폐 채택 패턴
GD컬처 그룹은 300만 달러의 주식을 매각해 비트코인 및 밈 토큰인 트럼프코인(TrumpCoin)을 매수할 계획이라 밝히며 주가가 13% 상승했다. 앰버 인터내셔널 홀딩스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Ethereum), 리플(XRP), 바이낸스 코인(BNB), 수이(SUI) 등 암호화폐에 1억 달러를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 같은 흐름의 원조는 기업 소프트웨어 회사 스트레티지(MicroStrategy, MSTR)이다. 스트레티지는 2020년 8월 비트코인(BTC)을 주요 자산으로 채택한 이후 주가가 3000% 이상 상승했다. 하지만 이후 발표한 일부 신규 소형 기업들은 비슷한 시장 반응을 유도했음에도 트랙 레코드와 실행에서 실패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나스닥 상장사인 트럭 부품 제조업체 웍스포트(Worksport)는 지난해 비트코인 및 리플에 투자 계획을 발표했지만, 현재 주가는 공시 전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 장기적 전략 보이는 사례도 존재
암호화폐 투자를 일시적 홍보가 아닌 장기적 자산 전략으로 채택한 기업도 있다. 일본 투자회사 메타플래닛(Metaplanet)은 2024년 4월 비트코인 보유 업무를 시작한 이래 꾸준히 비트코인을 매수해 현재 6796 BTC를 보유하고 있다. 미국 의료기기 기업 셈러사이언티픽(Semler Scientific)은 비트코인을 자산으로 꾸준히 채택하며 현재 3634 BTC를 보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암호화폐가 단기적으로는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투명한 전략과 실행의 지속성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과연 어떤 기업이 진정한 암호화폐 전략 기업으로 자리잡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