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비트코인(BTC)의 최근 상승세가 새로운 강세 사이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창립자 겸 CEO 주기영은 자신의 초기 비관적 입장을 철회하며 ETF와 기관 유입이 시장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5월 9일 소셜 미디어 플랫폼 X를 통해 “두 달 전, 강세장 사이클이 끝났다고 말했지만 틀렸다. 비트코인 매도 압력이 감소하고 있으며 ETF를 통한 대규모 자금 유입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글을 남겼다.
외신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주기영은 과거 비트코인 시장이 △주요 고래 투자자 △채굴자 △일반 투자자 간의 순환적 매도 패턴에 의해 예측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과거에는 비트코인 시장이 단순한 편이었고, 이들 주요 참여자가 서로 자산을 주고받는 식이었다. 일반 투자자들의 유동성이 고갈되고 주요 고래가 차익을 실현하면 시장 피크를 예측하기 쉬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제 비트코인은 ETF, 마이크로스트레티지(Microstrategy, Nasdaq: MSTR), 기관 투자자, 심지어 정부 기관의 참여로 더욱 다각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 시장에서는 고래 투자자의 매도가 가격 하락의 주요 요인이었지만 지금은 기관과 ETF에서 유입되는 새로운 유동성이 더 중요해졌다고 진단했다.
“이제는 과거 고래 매도를 걱정하기보다는 기관과 ETF의 신규 유동성이 얼마나 유입될지가 관건이다. 이 유입은 심지어 강력한 고래 매도세를 상쇄할 수 있다”
주기영은 비트코인의 단기 전망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면서 “현재 지표들은 경계선 수준에 머물러 있다. 최근 가격 움직임은 매우 강세장이지만 아직 명확한 시장 방향성은 없다”고 설명했다.
비트코인이 10만 달러를 넘어서는 동시에 기관 투자와 ETF의 강력한 유입이 확인되며 시장은 새로운 단계로 전환되고 있다. 시장 데이터 플랫폼 비트파이넥스(Bitfinex)는 “ETF 관련 자금 유입이 특히 미국 시장 시간 동안 꾸준하다. 미결제약정은 높지만 과도하지 않다”며 “펀딩비도 중립으로 이는 실제 수요에 기반한 움직임이며, 레버리지에 의한 가격 추종이 아니다”고 평가했다.
도우로 랩스(Douro Labs) CEO 마이크 케이힐(Mike Cahill)은 “비트코인의 10만 달러 돌파는 전환점”이라며 “이는 비트코인이 기관 포트폴리오에서 거시적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ETF, 국부펀드, 자산관리사 등이 비트코인을 불확실성에 대한 헷지 및 장기 성장 수단으로 채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언체인드(Unchained) 시장 조사 이사 조 버넷(Joe Burnett)은 비트코인 기반 자산 배분 모델이 점점 주목받고 있으며, 이는 자본 시장에서 비트코인의 역할을 더욱 강화하는 주요 동력이라고 덧붙였다.
전반적으로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이 △ETF △기관 자금 △이전보다 안정적인 시장 구조 등에 기반해 지난 사이클보다 더 지속 가능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