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정윤재] 스테이블코인 및 국채 토큰화 RWA 프로토콜 오픈에덴(OpenEden)의 스테이블코인 USDO가 총예치자산(TVL) 2억 달러를 돌파했다. 지난달 1억 달러 돌파 이후 한 달여 만에 두 배 성장을 기록했다.
USDO는 미국 국채 기반의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으로, △규제 기반 구조 △투명한 운용 △프로그램 가능한 수익 설계로 차별성을 갖춘다. 오픈에덴은 이번 성과에 대해 “단순한 가격 안정성을 넘어 실질 수익을 제공하는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시장 수요를 반영한 결과”라고 밝혔다.
TVL 증가는 다양한 디파이(DeFi) 플랫폼과의 통합 확대가 배경이다. USDO는 최근 △스펙트라 파이낸스(Spectra Finance) △펜들(PENDLE) △모포((MORPHO)) △업시프트(Upshift) △오일러 파이낸스(Euler Finance) △BSX 랩스 등과 연계됐다. 각 플랫폼에서는 USDO가 cUSDO 형태로 변환돼 다양한 수익 전략에 활용되고 있다.
USDO는 오픈에덴의 실물자산(RWA) 기반 상품인 TBILL을 통해 미국 국채와 현금으로 구성된 준비금으로 운용된다. 해당 상품은 무디스(Moody’s)로부터 신용 등급을 받았으며, 기관투자 유치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스마트 계약과 다중 서명 구조, 실시간 감사 체계를 통해 △보안성 △투명성 △가격 안정성을 확보했다. 락업 없이 수익을 제공하는 구조는 고금리 환경 속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오픈에덴은 “온체인에서 규제 준수를 기반으로 수익을 제공하는 스테이블코인이 디지털 금융의 새로운 기준이 될 수 있다”며, 향후 CeFi(중앙화 금융)와 DeFi를 잇는 가교 역할을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이번 TVL 2억 달러 돌파는 실물 기반 디지털 자산이 기관과 개인 모두에게 실질적 수익을 제공할 수 있음을 입증한 사례로 평가된다.
▶ 블록미디어 리서처들이 쏙쏙 뽑아 전하는 시장 이슈 ‘아무거나 리서치’ 텔레그램
같이 보면 좋은 기사
[홍콩 웹3] “이자 지급 스테이블 코인 USDO로 전통금융과 디파이 장점 융합”–오픈에덴(OpenEden) 창업자 제레미 응 | 블록미디어